최근 LH가 공급한 근린생활시설·주택용지 등 유찰 연이어
현금성 떨어지고 시세차익 기대감 저하...투자층, 아파트만 관심
고금리, 원자잿값 상승에 공사비 부담 확대도 원인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주택경기가 살아나면서 아파트값 상승세가 5개월 넘게 이어지는 상황에서 토지 입찰시장은 찬바람이 불며 잇달아 유찰돼 차별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내수경기 부진,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다 보니 투자금 회수를 자신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고금리 장기화와 공사비 상승도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는 한 이유다. 신규 유입자금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토지시장에도 지역별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한 근린생활용지, 주상복합 용지와 같은 토지가 새로운 주인을 찾지 못한 채 잇달아 유찰되고 있다.
지난 2일 입찰 마감한 경기도 '화성동탄2' 근린생활시설용지는 21개 필지 중 2개를 제외한 19개가 유찰됐다. 화성시 목동, 영천동, 오산동에 위치한 근린시설용지로 공급 예정가격은 20억4200만~133억2500만원이다. 근린생활시설은 슈퍼마켓·미용실·세탁소·목욕탕·학원 등 주거 기능의 편익을 높이기 위해 조성되는 용지다. 동탄2신도시가 2008년부터 조성돼 지역 성숙도가 높게 평가됨에도 토지 입찰이 흥행을 거두지 못했다. 통상 근린생활시설용지는 인기가 높지 않지만 이같은 대규모 유찰은 드문 일이란 게 업계의 이야기다.
고금리 장기화, 원자잿값 급등 등으로 토지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경기도 고양시 일대 나대지 모습. [사진=이동훈기자] |
지난달 22일 접수를 마감한 '파주운정3' 근린상업 및 업무시설용지 4필지도 모두 유찰됐다. 다율동과 동패동에 들어서는 입지로 공급예정금액은 36억2900만~48억1900만원이다. 건폐율은 60%, 용적률 300~400%를 적용받고 최고 층수 7층 이하로 조성할 수 있다. 낙찰자의 자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3년 무이자 분할납부 조건을 제공했으나 관심을 보인 투자자가 없었다.
시세차익 및 투자수익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택용지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지난달 29일 입찰 마감한 하남교산지구 '주상복합용지6'의 1필지는 주인을 찾지 못했다. 하남시 천현동 286-8 일원의 땅으로 공급 예정가격은 1458억6800만원이다. 건폐율 50% 이하, 용적률 350% 이하(주거 280% 이하)가 적용되고 348가구를 지을 수 있다. 토지사용기간은 2028년 12월 31일 이후다. 하남미사신도시의 생활 인프라를 공유할 수 있고 하남교산택지지구 개발 기대감이 있었지만 땅 처분을 위해서는 재공고 과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성남복정1지구'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 3·4BL의 8개 필지도 입찰에 나왔으나 모두 유찰됐다. 공급 예정가격은 16억4900만~22억5800만원이다. 건폐율 60%, 용적률 160%가 적용되고 2026년 12월 31일 이후 토지를 사용할 수 있다. 성남복정1지구는 북쪽으로 지하철8호선 남위례역을 이용할 수 있어 강남 접근성이 양호하다. 월세 수익과 거주가 동시에 가능한 점포겸용 단독주택이지만 재공고 수순을 밟게 됐다.
수도권 토지 입찰이 유찰을 거듭하는 이유는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땅 매입은 부동산 투자에서 난이도가 가장 높은 유형으로 구분된다. 되파는 과정에서 시세차익을 얻는 게 아니라 땅을 매입해 건물을 짓고 이를 분양 또는 임대하는 '개발사업'이 필요해서다. 거주환경이 자리를 잡기까지 변수가 많고 유해시설이 주변에 조성돼 부동산 상품의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 철도, 지하철 등 교통망 확충 계획이 예정보다 지연되거나 취소될 가능성도 있다. 특히 부동산 투자수요가 서울 아파트 매입에 집중하는 것도 수도권 토지시장에는 악재다.
원자잿값 상승과 고금리 장기화도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건설 원자잿값이 대폭 상승했다. 주거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정비사업(재건축·재개발) 평균 공사비는 3.3㎡당 687만원으로 2020년(480만원)에 비해 43% 올랐다. 최근에는 3.3㎡당 700만~800만원이 넘는 사업장이 늘어 공사비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 고금리 부담에 공사비가 늘면서 토지 투자의 부담이 커진 것이다.
시행업계 한 관계자는 "내수경기 악화로 자영업자 체감 경기가 나쁜 데다 지방은 미분양이 늘면서 상업용지, 주택용지 모두 인기가 하락하고 있다"며 "고금리 영향과 원자잿값 고공행진에 건축비가 3년 새 50% 넘게 상승한 것도 투자를 꺼리게 만드는 이유"라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