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국립극장이 남산 이전 50주년을 맞아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으로 화합과 사랑을 노래한다.
국립극장은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세종의 노래 : 월인천강지곡'을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한국 공연예술의 비약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한 국립극장 남산 이전 50주년을 기념해 선보이는 대형 칸타타(교성곡)로, 각 분야 최고 거장인 작곡가 겸 지휘자 박범훈, 연출가 손진책, 안무가 국수호가 의기투합했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국립극장 박인건 극장장, 박범훈 작곡가, 국수호 안무가 [사진=국립극장] 2023.11.28 jyyang@newspim.com |
◆ 국립극장 남산 이전 50주년 기념, 전 세대 아우르는 '화합' 노래한다
이번 공연은 조선 세종이 직접 지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을 바탕으로 3개 전속단체인 국립창극단‧국립무용단‧국립국악관현악단과 서양 오케스트라, 합창단 등 총 313명 출연진이 무대에 오른다. 독창·중창·합창과 동서양의 관현악이 결합한 칸타타(교성곡)로, 서곡과 8개 악장으로 구성된다. 초연 지휘는 작곡가 박범훈이 직접 맡는다.
여기에 연출가 손진책이 극 공연 못지않은 무대·영상·조명·의상 등을 조화롭게 펼쳐내는 가운데 안무가 국수호가 완성한 다채로운 움직임까지 더해져 통념을 깨는 현대적인 무대를 완성할 예정이다. 국악관현악단과 서양 오케스트라가 합쳐진 관현악단 97명을 중심으로 합창단 174명, 창극단 11명, 무용단 31명 등 출연자만 313명에 달하는 초대형 무대를 예고하고 있다.
작품은 576년 전 세종대왕이 직접 쓴 '월인천강지곡'을 바탕으로 '마치 달이 천 개의 강에 비추는 것과 같다'라는 의미를 담아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한글로 지은 찬불가를 현대적인 메시지로 확장하고 동양과 서양의 음악을 함께 차용해 화합으로 풀어냈다. 작가이자 시인인 박해진이 작사를 맡아 현재도 유효한 보편적 가치를 전하려 심혈을 기울였다.
작품을 이끌어가는 세존(석가모니의 다른 이름)과 소헌왕후 역은 국립창극단의 간판스타 김준수와 이소연이 각각 맡았다. 이외에도 세종 역의 김수인을 비롯해 민은경‧유태평양 등 창극단 주역 배우들이 무대에 올라 다양한 인물을 노래한다. 30여 명의 국립무용단원은 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는 분신으로서 우아하면서도 역동적인 움직임으로 관객의 몰입을 높일 예정이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국립극장 박인건 극장장 [사진=국립극장] 2023.11.28 jyyang@newspim.com |
◆ 박인건 극장장 "국립극장 역량 총동원한 뜻깊은 작품…계속 발전·공연되길"
이날 박인건 극장장은 "국립극장이 이곳 남산 장충동에 뿌리 내린 것이 1973년이다. 올해로 꼭 50년이 됐다. 자체 예술단체를 갖추고 무대를 직접 제작하는 시스템도 있는 국립극장이 대한민국에서 올바르게 공연 프로덕션 시스템을 갖춘 몇 안되는 극장이라고 생각한다. 그동안 쌓아온 창작 역량을 모두 보여드릴 만한 공연을 준비했다. 여기 모신 박범훈 작곡가, 손진철 연출가, 국수호 안무가 세 분과 함께 국립극장이 성장해왔다. 국립창극단, 국립무용단, 국립국악관현악단 모두가 참여하는 작품이고 민간 예술단체도 대거 참여를 해서 서양 오케스트라, 합창단까지 전 장르를 망라해서 새로운 준비를 했다"고 말했다.
'월인천강지곡'의 작곡을 담당한 박범훈 작곡가는 "코로나가 심하던 2년 전에 박해진 시인과 인연이 닿아 노랫말을 받고 작곡을 약속했다. 21세기의 월인천강지곡으로 어떻게 만들지 고민과 노력을 거듭했다. 결국은 단순하게 지금의 우리의 소리로 엮어보자 생각했고 국악을 바탕으로 삶의 소리, 우리가 같이 공유하고 있는 소리 중에서 우리 것 이다라고 생각이 되는 선율을 가져왔다. 이 곡 자체가 백성들을 위해서 쓴 것이고 쉽게 불러 훈민정음이 많이 알려지도록 한 목적의 역사성도 생각해서 쉽게 이해되고 부를 수 있는 곡으로 엮어봤다"고 말했다.
국수호 안무가는 '월인천강지곡'의 손진책 연출, 박범훈 작곡가와 수십년 간 절친한 사이로, 국립극장과의 인연도 두텁다. 그는 "국립극장이 1973년 3월 1일에 개관을 했는데 그때 제가 국립무용단 1호 군대를 갔다 와서 1호 남자 무용수로서 월급 받는 남성 무용수 1호였다"면서 "국립극장이 저를 키워준 본태가 되고 어머니가 되고 제가 성장하고 여러 가지 지금까지 하는데 저의 모든 밑걸음이 되어줬다. 50주년을 맞아 대작 안무를 맡아 감개가 무량하다"고 소감을 말했다.
이어 "이 곡이 세종이 소헌왕후에게 보낸 시지만 결국 백성을 생각하는 인내천의 정신, 사랑하는 마음이 이 시를 짓게 했고 불후의명작이 되지 않았나 싶다. 국립무용단원들이 너무 잘 따라주고 있어서 사랑과 역경, 내의와 외유, 화합이 되는 인간의 본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했다. 음악에 비해 부족할 수 있지만 최선을 다하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사진=국립극장] |
특히 박범훈 작곡가는 "맨 처음에 경복궁에서 이걸 해볼까 생각했었다. 야외에서 하기에 원체 스케일이 크고 예산이 많이 들고 어려움이 많았다. 국립관현악단 초창기 5년 동안을 이끌어왔고 가족 같아서 국립극장에서 했으면 좋겠다 생각했었다. 마침 이렇게 하게 돼서 고맙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공연은 국립극장 50주년을 기념하는 동시에,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 올리는 공연이기에 대규모 예산이 들었을 것으로 추측됐다. 박인건 극장장은 "313명 정도의 이 규모 박범훈 교수가 한 3~4년에 걸쳐서 이렇게 쓴 곡이고 손진책 연 연출의 국소하고 출연자 다 따지면 이게 한 30억짜리는 될 것"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도 "모두가 개런티를 생각하지 않고 이 작품을 정말 50주년에 뜻깊게 한번 각인시켜보자는 결의가 있었다. 헌신적으로 하느라 모두가 병이 났다. 박범훈 선생님은 이 곡을 2년 전에 완성했으니까 자식같은 작품이다. 큰 예산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6억원 정도를 투입하고 모두가 봉사하는 마음으로 해주셔서 가능했다. 이번 공연이 50주년 기념 한 번으로 없어지는 게 아니라 계속 발전되고 제대로 자리잡는 작품이 됐으면 좋겠다"고 바랐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