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특파원

속보

더보기

[100년 공산당] 홍색로드에서 만난 중국몽, 2035년 중국 <9> 8.1봉기의 도시 난창

기사입력 : 2021년07월09일 14:47

최종수정 : 2021년07월09일 14:48

공산당 8. 1봉기 무장 투쟁의 총성이 울린 곳
홍군 국민당 군 격퇴 난창 점령, 건군 기념일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홍군 장정의 출발지 루이진(瑞金)에서 출발한 기차는 3시간 만에 장시성 수도인 난창(南昌)에 도착했다. 2020년 9월 14일 밤 10시 30분, 늦은 시간이었지만 장시(江西)성 성도인 난창시 난창 서역은 플랫폼에서 쏟아져 나오는 승객과 지하철로 환승하려는 사람들이 뒤섞여 몹시 붐볐다. 베이징에서 징강산(井岡山, 吉安시의 현급시), 징강산에서 루이진, 루이진에서 다시 장시성의 성도인 난창으로 들어오는데는 모두 4일이 걸렸다.

장시성의 수도 난창은 코로나19 검역이 징강산과 루이진에 비해서는 다소 엄한 편이었다. 하지만 젠캉바오(健康 앱)와 체온만 정상이면 별다른 통제가 없었다. 공유택시 디디 차량을 불러타고 역사를 벗어나자 제일 먼저 '8.1' 구호가 눈에 띈다. 1927년 공산당이 주도한 8월 1일 봉기(8.1 起義)는 난창의 혁명 정신이 됐고 난창은 '8.1'을 홍색 도시의 간판으로 내걸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장시성 성도인 난창 시내 중심가에 8.1 난창 봉기 기념탑이 자리하고 있다.  1927년 8월 1일 난창 봉기는 공산당 무장 투쟁의 시발점이 됐다고 공산당사는 전하고 있다.   2021.07.08 chk@newspim.com

호텔 위치와 동선을 고려해 남창의 홍색 유적지 탐방은 8.1광장 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스마트폰을 열어 키워드로 '8.1'을 입력하니 8.1광장을 비롯해 8.1대도(大道), 8.1대교 등 8.1과 관련한 여러 지명이 나타난다.

난창시 둥후(東湖)구 8.1 광장을 클릭한 뒤 3분도 채 되지않아 공유차량 디디(滴滴) 택시가 도착한다. 디디 기사들은 대체로 일반 택시 기사에 비해 더 친철하고 특히 여행지에서 만나는 디디 택시 기사는 더할나위 없이 훌륭한 여행 가이드다.

"8월 1일 난창 기의(起義, 봉기)는 인민해방군이 출범하는 계기가 됐어요. 난창의 8.1광장은 난창 기의와 혁명 정신을 기리는 곳입니다. 오늘날 8.1 광장은 도시의 심장부로 주민들의 휴식터이자 경제 문화의 중심지와 같은 곳이예요". 디디 공유택시 기사는 이렇게 말힌 뒤 난창은 혁명 도시이며 영웅의 도시라고 자랑스럽게 말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인민해방군 신병들이 '입대 영광'이라는 어깨 끈을 두르고 난창시 난창 서역 역사 부근에 집합하고 있다. 1927년 8.1 난창 봉기를 기념해 중국은 8월 1일을 건군 기념일로 정했다.   2021.07.08 chk@newspim.com

중국 공산당은 1차 국공합작이 결렬된 후 일어난 난창봉기에 대해 공산당이 무장 투쟁을 통해 정권 쟁취에 돌입하고 중국 공산당의 인민군대가 창설되는 시발점이 됐다고 기록하고 있다. 1927년 8월 1일 새벽 저우언라이 주더 등이 이끄는 군대 2만 명이 난창에서 봉기를 일으켜 4시간 여에 걸친 격전 끝에 국민당군 3000여 명을 격퇴하고 난창 일대를 점령한다.

중국 공산당은 난창봉기가 국민당과의 무장투쟁 돌입에 총성을 울린 사건이라며 역사적 의의를 강조한다. 1933년 중국은 8월 1일을 '공농 홍군 성립 기념일'로 정했다. 훗날 정식으로 중국인민해방군이 창설된 후에는 난창 봉기가 일어난 8월 1일을 건군절로 확정했다.

8.1광장에는 '8.1 난창 기의 기념탑'이 하늘을 향해 날개를 편채 웅장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현장에서 만난 사진 작가는 기념탑에 금빛으로 쓰여진 글씨가 공산당 혁명원로 예젠잉(叶剑英)이 직접 쓴 것이라고 알려줬다. 기념탑 아래 3면에는 난창 봉기의 역사가 조각으로 새겨져 있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난창의 볼거리 텅왕거 누각에서 오른쪽 편으로 8.1 봉기를 기념한 8.1대교가 희미하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 대교 한쪽 입구 양편에 덩샤오핑 개혁개방 구호인 '흑묘 백묘'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2021.07.08 chk@newspim.com



8.1광장은 8.1 대도와 인접해 있고 베이징 서로, 중산로 등으로 이어지는 난창 교통의 중심지였다. 난창에는 징강산과 루이진에는 없던 파란 하늘색의 텐센트 칭쥐(青桔, 청귤) 공유 자전거가 운영되고 있었다.

자전거는 도시를 가까이에서 살펴보는데 도보 여행 만큼이나 유용한 수단이다. 위챗으로 자전거 핸들 위의 QR 코드를 스캔하자 1.5위안 짜리 청귤 자전거의 열쇄가 철컥하고 열렸다. 이어 가오더 지도앱을 켜자 난창 중심가가 표시된다. 자전거 페달을 밟은 지 얼마안 돼 눈앞에 중산로 교통 표지판이 나타난다.

8.1광장에서 가까운 이곳 중산로는 장시성의 성후이(省會, 성 수도) 난창에서도 가장 번화한 상업 중심가 가운데 한 곳이다. 높은 빌딩들이 몰려 있는 것으로 봐 이곳은 난창의 업무와 상업중심지인 것 같았다. 자전거 길 옆으로는 스마트폰 매장, 한류 패션 복장가게, 영화관, 미용점, 레스트랑 등이 끝도없이 이어지고 있었다.

중산로를 지나 한참을 더 가다보니 난창 8.1기념관이 눈에 들어온다. 오래전인 2007년에 한번 와 본 곳이다. 문 앞을 지키는 보안 경찰은 오늘은 문을 열지 않는 다며 매주 월요일은 정기 휴관일이라고 안내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장시성 성도 난창 시내에 자리한 8.1봉기 기념관.  2021.07.08 chk@newspim.com

기념관을 뒤로하고 자전거 페달을 밟는데 지하철 역이 나타난다. 도시를 체험하는데 있어 전철은 자전거 만큼이나 괜찮은 교통 수단이다. 전철 역들은 도시의 많은 랜드마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장시성 수도이지만 난창 인구는 1000만명이 채 못된다  지하철은 1,2호선 두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었다. 3, 4호선도 조만간 개통될 것이라는 예고 인 듯 지하철 노선도에 점선으로 함께 표시돼 있었다.

모바일 위챗 결제로 지하철 표를 구입했다. 베이징과 다른 크림슨 색의 동그란 플라스틱 코인으로 만든 지하철 표가 이채롭다. 지하철 요금은 짧은 구간 요금이 2위안으로 베이징보다 훨씬 저렴하다. 교통 요금에 비춰 볼때 이곳 물가는 베이징에 비해 많이 싼 것 같았다. 지하철은 평일 낮 시간인데도 승객들의 발길로 붐볐다.

지하철 이동인구가 도시의 활력을 재는 지표중 하나이고 보면 장시성 난창의 경제도 중국 다른 도시처럼 빠른 속도로 코로나19의 영향권에서 빠져나오고 있음이 분명해 보였다. 두어 정거장을 지나 난창시가 가장 자랑거리로 여기는 텅왕거(滕王閣) 역에서 하차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장시성 성도 난창 시내 강서 혁명열사 기념관에 총을 잡은 홍군 병사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2021.07.08 chk@newspim.com

여행 비수기이고 평일인데도 텅왕거 누각은 여행객들의 발길로 북적였다. 텅왕거는 후베이(湖北) 우한(武漢)의 황허루(黃鶴樓), 후난(湖南)성 웨양루(嶽陽)시 웨량루와 함께 중국 '강남의 3대 누각'으로 불린다. 텅왕거는 도시의 젖줄인 간장(赣江) 동쪽 편에 고풍스런 자태를 뽐내고 있었다.

텅왕거 누각에서 공항 방면 간장의 상류 쪽을 바라보면 8.1 봉기를 기념해 건립한 8.1대교가 눈에 들어온다. 8.1대교는 무장투쟁의 공산 혁명과 개혁개방의 정신을 결합한 다리다. 대교 입구엔 덩샤오핑 방문을 기념해 설치한 개혁개방 상징물 '흑묘 백묘(덩샤오핑의 경제발전을 강조한 개혁개방 구호)' 조각상이 자리잡고 있다.

덩샤오핑은 생산력(경제발전, 專)을 강조하는 류사오치 노선에 동조했다. 이로인해 문화혁명 기간 이념 투쟁(紅)을 주장해온 마오쩌둥에 의해 모진 핍박을 받았다. 덩샤오핑은 문화혁명 도중인 1972년 난창에 하방돼 노동을 통한 사상개조의 시간을 보내야 했고 류사오치는 감옥에서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문화혁명의 암흑기를 뒤로하고 덩야오핑 시대가 열리자 난창에는 장시성 홍색 지구중 가장 먼저 현대화 건설과 개혁개방 구호가 울려퍼쳤다. 덩은 난창을 찾아 생산력 발전을 역설했고 사람들은 머리띠를 동여매고 경제건설에 매진했다. 시장 경제가 확산되고 이념 투쟁은 역사의 저편으로 흔적을 감췄다. 새빨간 혁명도시 난창은 제2 개혁개방과 혁신을 도시 발전의 새 아이콘으로 내걸고 미래를 향해 줄달음 치고 있다. <10회에 계속>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장시성 난창시 난창 서역 기차역 인근 호텔에서 내려다 본 빌딩 공사 현장. 2021.07.08 chk@newspim.com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딥시크 부당하게 데이터 수집했을 수도"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오픈AI는 중국 딥시크(DeepSeek)가 부당하게 회사의 데이터를 수집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오픈AI는 딥시크가 오픈AI 기술로 생성한 데이터를 사용해 자체 시스템에 비슷한 기술을 훈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AI 업계에서 훈련에 사용되는 디스틸레이션(distillation) 기법은 흔하지만, 오픈AI는 서비스 약관에 같은 시장에서 경쟁할 기술을 만들어내기 위해 오픈AI의 시스템이 생성해 낸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오픈AI의 리즈 부르주아 대변인은 NYT에 보내 이메일에서 "우리는 중국의 조직들이 미국 AI 모델을 복제하기 위해 디스틸레이션으로 알려진 것을 포함한 방법을 사용해 활발히 작업 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그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딥시크가 부적절하게 우리 모델을 디스틸레이션 했다는 징조를 검토하고 있고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면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딥시크는 지난주 R1 모델을 내놓으며 전 세계 AI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믿어온 실리콘밸리를 충격에 빠뜨렸다. 딥시크는 R1 모델 개발에 단 2개월의 시간과 600만 달러 미만의 자금이 소요됐다고 밝히며 그동안 실리콘밸리의 천문학적인 투자를 무색하게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딥시크의 개발이 긍정적이라면서도 미국 기업들에 경종을 울렸다고 평가했다. 이날 상원 인사청문회에 나선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딥시크가 도난당한 미국 기술과 첨단 미국 반도체를 활용해 저렴하게 강력한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면서 미국이 AI 분야에서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에 대한 미국 표준과 유사하게 글로벌 표준을 창출하기 위한 모델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픈AI 챗GPT와 딥시크.[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1.28 mj72284@newspim.com mj72284@newspim.com 2025-01-30 03:07
사진
여야, 설 이후 전력망법 등 입법 본격화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설 연휴 이후 국회의 민생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우선 여야는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포함한 주요 에너지·산업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위해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 피해 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여객기 참사 특위)'와 국정협의회 등도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다사다난했던 2024년 갑진년(甲辰年)이 저물고 있다. '푸른 용의 해' 우리는 더 높게 비상하는 한 해가 되길 바랐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4·10 총선 결과로 22대 국회의 '여소야대' 국면부터 이상기후로 인한 농산물 등 물가 상승까지 서민들의 부담은 가중됐다. 초유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이어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까지 쉴 틈 없는 아픔의 연속이었다. 다가오는 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푸른 뱀의 기운으로 우리 모두가 꺾이지 않고 희망의 한 해가 되길 기대해 본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서울달에서 바라본 국회 모습. 2024.12.31 mironj19@newspim.com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회에서 만나 '첨단산업 에너지 3법(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해상풍력발전 보급 촉진 특별법·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처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회동을 마친 뒤 "지난해 11월에 합의했던 법안이 있다"며 "처리하기로 합의했던 법안 63건 중 본회의에서 통과된 게 24건이고, 나머지 법안 39건은 아마 더불어민주당도 합의 처리하는 데 특별한 그것(이견)은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은 정부 차원의 개입으로 전력망 구축 사업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개선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해상풍력 특별법은 민간사업자가 주도하던 해상풍력 사업을 정부 주도 방식으로 전환하는 내용이다. 고준위 방폐장법은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폐기물(사용후핵연료)을 영구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다만 에너지 3법과 함께 '미래 먹거리 4법'으로 불리는 반도체산업 특별법은 '주52시간 근무제 예외(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조항'을 두고 추가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반도체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예외 조항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은 다음 달 초 토론회를 열고 최종 입장을 결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국회 특별위원회도 활동을 이어간다. 여객기 참사 특위는 오는 2월 6일 전체회의를 열고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 등을 상대로 현안 질의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여야는 국정협의회 가동을 위한 논의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국정 혼란 수습을 위해 마련된 국정협의회는 지난 9일 첫 실무회의를 열고 참석자 및 공식 명칭 등을 확정했다. 협의회 참석자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민주당 대표 등 4명이다. 그러나 여야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협의회는 사실상 좌초된 상태다. 양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정협의회 실무 협의를 진행했으나, 성과를 얻지 못했다. 여야가 설 이후 본격적인 민생 행보에 나설 경우 협의회 가동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회-정부-국정협의체 실무협의가 열리고 있다. 이날 실무협의에는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등이 참석했다. 2025.01.09 pangbin@newspim.com rkgml925@newspim.com 2025-01-29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