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日증시의 두 마리 '고래' BOJ·GPIF...상장기업 80%의 최대주주

기사입력 : 2020년10월23일 10:42

최종수정 : 2020년10월23일 10:44

코로나 위기에서도 증시 상승 견인
'관제시장' 연출하며 시장 왜곡 지적도

[서울=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일본은행(BOJ)과 세계 최대 연기금인 연금적립금관리운용독립행정법인(GPIF)이 도쿄증시 1부 상장기업 80%의 최대주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관계자들 사이에서 '고래'로 불리는 BOJ와 GPIF는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주가 상승을 견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관제 시장'을 연출하며 시장을 왜곡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도쿄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일본 도쿄에 있는 일본은행 본점 앞을 마스크를 쓴 남성이 지나가고 있다. 2020.05.22 goldendog@newspim.com

◆ 1830개사에서 사실상 최대주주...4년 새 두 배 증가

아사히신문은 BOJ와 GPIF가 도쿄증시 1부 상장기업 2166개사(3월 말 시점)의 80%에 해당하는 약 1830개에서 5%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사실상 최대주주로 밝혀졌다고 29일 보도했다.

BOJ와 GPIF의 간접보유 지분이 10% 이상인 곳은 약 630개사였다. 20% 이상인 곳도 28개사에 달했다. 보유지분이 가장 많은 곳은 대형 반도체기업 어드밴테스트로 29.0%를 기록했다.

전체 주식 보유액으로는 GPIF가 36조엔(약 390조원), BOJ가 31조엔(약 336조원)으로 두 고래의 보유액을 합치면 도쿄증시 전체 시가총액의 12%에 달한다.

BOJ와 GPIF가 5%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기업은 2016년 3월 말 조사 당시 약 980개사에서 4년 새 거의 두 배가 늘어났다.

코로나 위기를 겪으면서 공적자금이 일본 주식시장을 지탱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신문은 "연기금이 주식을 사는 것은 해외에서도 일반적이지만, 중앙은행의 주식 구입은 국제적으로도 이례적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BOJ는 상장지수펀드(ETF) 매입을 통해 주식시장에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금융시장에 코로나19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던 지난 3월에는 ETF 매입 한도를 연간 6조엔에서 두 배인 12조엔으로 늘렸다.

도카이도쿄(東海東京)조사센터의 센고쿠 마코토(仙石誠) 수석 애널리스트는 "BOJ가 ETF를 1조엔 매입하면 닛케이주가가 260엔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며 "도쿄증시에서는 8년 가까이 BOJ를 중심으로 아베노믹스 효과가 십이분 발휘됐다"고 말했다.

최근 1년간 닛케이주가 추이 [자료=트레이딩이코노믹스]

◆ 존재감에 비례해 시장 왜곡 우려도 커져

하지만 BOJ와 GPIF의 과도한 증시 개입은 실물경제와 괴리된 주가 상승을 초래하는 등 시장 왜곡을 낳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두 고래의 전방위적인 주식 매입이 실적이 나쁜 기업의 주가도 끌어올리는 등 시장을 흔들고 있다는 것. 도쿄상공리서치의 도모다 노부오(友田信男) 정보본부장은 "공적 자금이 주가를 지탱하면서 기업 실적이 주가에 반영되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BOJ가 향후 양적완화에 대한 출구전략을 펼 경우 주가 하락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신문은 "BOJ가 ETF를 어떻게 처분할지 출구전략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며 "이는 주식시장에 있어 한 가지 우려 재료"라고 전했다.

BOJ 금융정책결정회의 모습. [사진=지지통신 뉴스핌]

goldendo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