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자화상, 스크릿샷으로 남기다…윤향로 개인전 '캔버스들' 개막

기사입력 : 2020년08월27일 17:25

최종수정 : 2020년08월27일 17:25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회화는 세계에 대한 스크린샷이다."

윤향로 작가의 주장이다. 그는 기존의 이미지를 모아 재창조하고 변주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선보인다. 그래서 자신의 작품을 '유사 회화'라고 명명한다. 주로 대중문화와 패션의 이미지를 재해석한 작업을 선보인 윤 작가는 2년 만에 여는 개인전에서 자화상과 같은 작품을 선보인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윤향로 작가 2020.08.27 89hklee@newspim.com

학고재는 26일부터 9월 27일까지 학고재 본관에서 윤향로 개인전 '캔버스들'을 연다. 윤 작가는 이전과는 다르게 미술사적 요소와 결혼과 출산의 경험 등 자신의 이야기를 녹인 작품으로 관람객과 만난다.

윤향로 '발견된 오브제'를 변주해 자신의 것으로 탈바꿈하고 오브제가 되는 이미지를 포착하고 캔버스 천에 디지털 방식으로 출력, 그 위에 붓이 아닌 에어브러시로 채색한다. 그가 "회화는 세계에 대한 스크린샷이다"라고 하는 이유는 그의 작업 과정에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기존의 이미지를 오브제로 발췌하는 순간, 디지털화하는 순간, 관람객이 그 작품을 보는 과정이 모두 '스크린샷'으로 의미를 함께한다.  

이번 전시에서 윤 작가가 활용한 이미지는 헬렌 플랑켄탈러(1928~2011)의 활동을 정리한 책 내용을 발췌한 것이다. 그의 캔버스에 옮겨진 스크린 샷은 작가 헨렌 플랑켄탈러가 고전 회화를 참조해 작업한 사례를 담은 것이다. 그가 발췌한 페이지들에 회화와 연관된 단어가 다수 눈에 띄는데 주로 여성과 관련된다. 여성을 지칭하는 'She'와 'Her'를 쉽게 볼 수 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전시장 전경 [사진=학고재] 2020.08.27 89hklee@newspim.com

이번 윤 작가의 신작들은 앞선 세대 작가의 기록 위에 윤향로 작가의 삶의 이야기가 덮여지고, 작가의 에어브러시 터치가 올라간 세 개층을 쌓은 구조다. 그야말로 윤향로표 스크린 샷으로 쌓아올린 회화다. 헬렝 플랑켄탈러의 책 내용 위에 윤 작가의 인생의 전환점이 된 결혼과 아이를 소재로 한 자신의 삶을 그렸다. 소재는 웨딩드레스와 아이의 낙서다. 지난해 결혼한 윤 작가는 자신만의 웨딩드레스를 디자이너와 협업해 고안했다. 웨딩드레스에선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주머니를 단 원피스 형태다. 윤 작가는 "어깨에 걸친 핸드백처럼 옷의 주머니가 여성의 적극적인 사회 진출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과 작가로서의 여성의 의미를 함축한 것으로 해석된다.

작가는 드레스를 에어브러시로 표현했다. 관람객은 쉽게 찾기 힘든 추상이다. 또 아이가 그린 다양한 낙서 그림들을 발췌한 페이지를 올려 캔버스에 출력해 추상의 느낌을 한 스푼 더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2D와 3D를 오가는 작가의 공간 구성력도 돋보인다. 작가는 화면 안팎의 세계를 동시에 바라보려는 관점을 확장했다. 그는 먼저 학고재 본관의 모든 내벽을 감싸는 '디지털 매핑 이미지'를 만들었다. 전시장 도면이 가상의 캔버스 역할을 한 거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전시장 전경 [사진=학고재] 2020.08.27 89hklee@newspim.com

이 위에 이미지를 채우고 100여 개의 조각을 잘라냈다. 캔버스 규격 및 표준 화면비를 기준으로 17종 판형, 100여 개의 조각을 추출해 전시 공간의 해당 자리에 설치했다. 실제 공간에서는 분리돼 있지만 2차원에서 겹쳐지는 부분에 걸린 작품에는 파란색 반투명 막으로 표시했다. 관람객은 작가가 구축한 가상의 세계를 생각하면서 작품을 감상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작품은 0호에서 50호까지 캔버스를 동선에 따라 순서대로 배치했다. 구성상 여백을 두기 위해 61점의 작품을 선별했다. 또 암호문을 연상시키는 작품명은 자화상을 표현하는 이모티콘, 설치 벽면을 가리키는 도형, 캔버스 규격을 나타내는 호수의 조합이다. 따라서 ':)◆10F-3'은 ◆로 지칭한 벽면에 걸린 '10F' 규격의 캔버스 중 세 번째 작품이라는 의미다. 본관 안쪽방에 건 18점의 연작 ':)아티피컬A1~F3'의 경우 설치 순서에 따라 좌측 상단부터 우측 하단까지 'A1~F3'의 일련번호가 붙는다. 각 화면은 개별 작품으로서 독립성을 갖추는 동시에 상호 유기적으로 관계 맺는다.

89hkle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