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약품 산업 발전 현황과 전망' 토론회
"글로벌 가치사슬 없이 자생하고 경쟁력 가질 국내 생태계 필요"
[서울=뉴스핌] 박다영 기자 = 바이오헬스 산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갖기 위해서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해 정부가 바이오헬스를 차세대 3대 주력사업 중 하나로 선정한 후 정부와 산업계의 연구개발 투자는 늘었다. 하지만 여전히 기술수출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국내 업계가 글로벌 가치사슬 없이 자생할 수 있는 생태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서울=뉴스핌] 박다영 기자 = 박정태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상근부회장이 '바이오헬스 국가비전선포 1년, 바이오의약품 산업 발전 현황과 전망'을 발표하고 있다. 2020.05.20 allzero@newspim.com |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국회의원회관에서 '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 1년, 바이오의약품 산업 발전 현황과 전망'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는 윤일규 더불어시민당 의원,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가 개최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박정태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상근부회장은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국가비전으로 선포한 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가 발생했지만, 바이오헬스 산업은 그 여파에도 8개월 연속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갖기 위해서는 정부 부처의 지원과 업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5월 바이오헬스 산업을 비메모리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3대 주력사업으로 선정하면서 연구개발(R&D) 비용을 연간 4조원씩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발표 이후 보건복지부는 올해 바이오헬스 관련 예산을 1046억원 편성했다. 올해 복지부 전체 예산 중약 28%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10% 늘어난 규모다. 예산 내역으로는 연구·개발(R&D) 관련 비용 760억, 나머지 286억원 등이다. 이외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200억원, 산업통상자원부 863억원의 예산을 편성하면서 각각 전년 대비 10%, 78% 투자를 늘렸다.
산업계에서도 바이오 클러스트를 통해 입지를 강화하고, R&D 관련 투자 증대와 전문인력 양성 등 산업 발전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기술수출이 비지니스 모델의 하나로 꼽히는 바이오헬스 산업의 생태계가 변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윤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포스트 코로나시대에는 글로벌 가치사슬이 깨질 것이라는 예측이 대두되고 있다"라며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태계가 글로벌 가치사슬 없이도 자생하고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되고, 국내 업계가 연합체계를 꾸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글로벌 가치사슬은 상품의 설계, 생산, 유통, 사용, 폐기 등 전 범위에 이르는 기업의 활동이 세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 사태의 이후 화웨이와 애플을 중심으로 한 미중 관계를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원 센터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K-바이오 가치사슬에는 임상 3상 실패 등 공백이 존재한다"면서 "우리나라가 바이오산업의 미래를 장악하기 위해서는 포스트 코로나시대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해 연구장비나 시스템을 새로운 형태로 재무장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산업계에서는 코로나19의 여파를 설명하고 추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필요한 전략에 대해 의견을 내놓았다.
유진산 파멥신 전무는 "진단키트 기업을 제외한 국내 바이오기업은 코로나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코로나 사태로 인해 해외에서 연구와 임상에 차질이 생기고 환율인상이 재정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대로 된 평가를 통해 국가지원제도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장윤숙 셀트리온 사장은 "정부가 바이오의약품 분야 소재, 부품, 장비 등을 국산화를 말하고 있는데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수요와 공급이 필요한 업체를 결합하고 다양한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allzer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