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이번엔 레드제플린?…레전드 가수 영화 붐 계속될까

기사입력 : 2019년10월06일 09:01

최종수정 : 2019년10월06일 19:57

[서울=뉴스핌] 김세혁 기자 = 프레디 머큐리나 엘튼 존 등 세계적인 가수들의 자전영화가 유행하고 있다. 로큰롤 황제 엘비스 프레슬리를 다룬 작품이 2021년 개봉하고, 최근엔 전설적 그룹 레드 제플린의 영화 제작 이야기까지 나왔다. 슈퍼스타들의 일생을 스크린에 담아달라는 팬들의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제작자 입장에선 풀어야할 숙제도 많아 자전영화 바람이 계속될 지 주목된다. 

◆록의 전설 레드 제플린, 마침내 영화화되나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등은 최근 기사를 통해 레드 제플린의 자전영화 소식을 전했다. 뭣보다 레드 제플린의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 입에서 직접 나온 이야기라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영국 록밴드 레드 제플린 보컬 로버트 플랜트 [사진=1973년 'Rock and Roll' 미국 뉴욕 라이브공연 실황 영상 캡처]

지미 페이지는 레드 제플린의 영화와 관련, “이야기가 실제 오가고 있다. 우리 이름으로 돈을 벌려는 영화 제작자는 예전부터 많았다”며 “미국 로스앤젤레스 등지에서 구체적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미 페이지는 다만 “문제는 당사자인 우리가 상당히 바쁘다는 거다. 실제 영화화까지 이어질 지는 아무도 모른다”며 확답은 해주지 않았다. 

레드 제플린의 영화가 아예 없던 것은 아니다. 지난 2012년 개봉한 딕 카루더스 감독의 다큐 영화 ‘레드 제플린:셀레브레이션 데이’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를 중심으로 레드 제플린의 이야기를 다뤘다. 

1968년 결성된 레드 제플린은 1970년대 세계적인 록 바람을 일으킨 전설적 밴드다. 음악적 재능, 음반 판매량 등 모든 면에서 최고를 자랑한다. 드러머 존 본햄의 사망으로 1980년 팀이 해체한 뒤에도 인기는 식지 않았다. 2007년 존 본햄의 아들이 드럼을 잡고 단 1회 한정으로 열린 레드 제플린의 라이브는 티켓 가격이 1억원(경매)에 달했다. 

◆단순 음악영화와는 달라…실존 가수 영화, 왜 유행하나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의 한 장면 [사진=이십세기폭스코리아]

사실 실제 가수들의 영화는 이전부터 줄곧 만들어져왔다. ‘비틀즈:하드 데이즈 나이트’(1964), ‘레이’(2004), ‘아임 낫 데어’(2007), ‘디스 이즈 잇’(2009), ‘휘트니’(2018) 등 적잖은 작품이 탄생했다. 비틀즈나 레이 찰스, 마이클 잭슨, 휘트니 휴스턴 등 당대 최고의 가수를 다뤘지만 흥행과는 거리가 멀었다. 관객유입만 놓고 보면 해당 가수나 팀의 세계적 인기에 비해 주목 받지 못하는 게 일반적이었다.

그러다 지난해 ‘보헤미안 랩소디’가 국내에서만 994만 관객을 모으며 세계적으로 히트하면서 가수 영화도 흥행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 최근 개봉한 ‘로켓맨’은 국내 성적이 저조했지만 마니아층을 뚜렷하게 형성하며 ‘보헤미안 랩소디’의 바람을 이어갔다는 평가다.

현재 제작단계인 엘비스 프레슬리의 자전영화는 그래서 더 주목된다. 오스틴 버틀러가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로미오와 줄리엣’(1996), ‘물랑 루즈’(2001), ‘위대한 개츠비’(2013)의 바즈 루어만이 메가폰을 잡아 기대를 모은다. 엘비스 프레슬리를 최고의 자리로 인도한 매니저 톰 파커를 명배우 톰 행크스가 맡으면서 실존 가수 영화 유행이 계속되리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본인·유족·팀이 거절하기도…쉽지 않은 실존 가수 영화화

영화 'U-571'에 출연한 록밴드 본 조비 리더 존 본 조비 [사진=영화 'U-571' 스틸]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나 팀의 영화가 나오길 간절히 기다리는 팬들은 많다. ‘보헤미안 랩소디’의 메가히트 이후 이런 요구는 더 빗발친다. 다만, 이런저런 이유로 실존 가수 영화가 탄생하기까지는 어려움이 따른다.

우선은 가수 본인이 꺼리는 경우가 적잖다. 내년에 새 앨범을 선보일 록밴드 본 조비 역시 팬들의 영화화 요구가 빗발치지만 꿈쩍도 안 한다. 'U-571'(2000) 등 영화로 가끔 '외도'를 해온 팀 리더 존 본 조비는 런어웨이 패러다이스 이벤트 공연 당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실제 음악인들을 영화화하는 작품은 이제 너무 흔하다. 물론 우리 음악이 영화에서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 지는 궁금하다. 그래도 이미 숱한 음악영화가 나온 터라 흥미롭지는 않다.”

주인공이 이미 사망한 경우 영화 제작이 난항을 겪는다. 유족이나 팀 멤버들과 협의가 난제로 손꼽히기 때문이다. 흔쾌히 제작에 동의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는 게 영화계 중론. 유산이나 수익 분배 등 숱한 문제로 거부하는 경우가 흔하다. 영화가 개봉된 뒤에도 숱한 논란이 벌어지곤 해 아예 제작을 꺼리는 영화사도 적잖다. 
 

starzooboo@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