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BS·동국대 공동연구..무결점 이종접합물질 개발
[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이종 원소로 구성된 2차원 소재를 대면적 단결정으로 합성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이로써 차세대 투명 유연 전자 소자 및 가스 배리어, 센서, 필터 등의 개발에 큰 혁신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수민 박사·기초과학연구원 나노구조물리연구단 이영희 연구단장·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김기강 교수 공동연구진은 질소와 붕소의 서로 다른 두 가지 원소로 구성된 2차원 물질인 질화붕소를 단결정으로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질화붕소(Hexagonal boron nitride·hBN)는 그래핀과 같은 육각형 원자구조로, 탄소 대신 붕소와 질소로 이뤄진 판상 구조의 소재다.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이날 게재됐다.
액상의 금 기판 위에 합성된 2차원 질화붕소(hBN) 결정립과 자기 줄맞춤(self-collimation) 현상에 의한 대면적 단결정 합성 모식도 및 실험 결과이다. [자료=과기정통부] |
연구진에 따르면 2차원 물질은 전기적인 특성,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해 차세대 전자 소자의 핵심 소재로 꼽힌다. 또한 기체를 투과시키지 않아 소자의 보호 장벽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그 중 질화붕소는 2차원 물질 중에서 유일하게 절연 특성이 있어 투명한 유연 전자소자의 절연층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질화붕소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단결정 형태로 합성해야 하는 난제가 남아 있다. 기존 합성법으로 개발된 대면적 질화붕소는 다결정 형태로 합성, 질소와 붕소의 원자결합이 불완전하고 절연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단결정이란 결정 전체가 규칙적으로 일정한 결정축을 따라 모여 있는 상태이고, 다결정은 여러 결정이 불규칙적으로 모여있는 상태로 결정 간 결합이 불완전하다.
이에 연구팀은 액상 금 표면 위에서 질화붕소의 결정립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가 줄맞춤’ 현상을 이용해 단결정 질화붕소 박막을 합성했다. 이 방법은 박막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크기의 단결정 형태를 합성할 수 있다.
자기 줄맞춤(self-collimation)이란 액상의 금 표면에서 질화붕소 결정립이 형성되면 질소와 붕소 원자들이 전기적인 상호 인력을 일으켜 서로 밀어내거나 당기면서 적정 거리를 유지하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진은 매끄러운 액체 상태의 금 표면 위에서 질화붕소의 원료 물질을 쉽게 흡착, 이동시켜 크기가 균일한 원형의 질화붕소 결정립을 합성했다.
각각의 질화붕소 결정립이 임의로 이동하다가 결정립의 가장자리에 있는 질소와 붕소 사이에서 전기적인 상호 인력이 유도되고, 그 결과 결정립이 스스로 줄맞춰 배열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제작된 단결정 질화붕소 박막을 기판으로 활용, 반금속성 소재인 그래핀, 반도체성 소재인 이황화몰리브덴(MoS2), 이황화텅스텐(WS2) 등 다른 2차원 소재들도 단결정으로 합성했다.
나아가 그래핀과 질화붕소가 층을 이루는 이종 적층구조를 직접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다양한 2차원 소재의 이종 적층구조를 대면적 단결정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수민 박사는 “이번 연구는 그래핀을 포함해 두 가지 원소로 구성된 단결정 2차원 물질을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다양한 2차원 이종 적층구조 개발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