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배우 김선영이 22일 오후 서울 양천구 인근의 카페에서 진행한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형석 기자 leehs@ |
[뉴스핌=글 양진영 기자·사진 이형석 기자] 벌써 18년차, 관록의 뮤지컬 배우 김선영이 '햄릿:얼라이브'로 또 하나의 인생 캐릭터를 완성했다. '레베카'를 거쳐 '햄릿' 무대에 오른 그의 선택은 이번에도 옳았다.
뮤지컬 '햄릿:얼라이브'에 햄릿의 어머니 거트루드 역으로 출연 중인 김선영과 만났다. 극중 거트루드는 선왕의 죽음과 동시에 그 동생 클로디어스(양준모)와 결혼해 여왕의 자리를 지키는 인물이다. 때문에 아들 햄릿(고은성)의 원망을 사지만, 스스로와 햄릿을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거트루드는 정확히 안다고 볼 수 있다.
"'햄릿'이라는 얘기를 무대에서 해보고 싶었어요. 또 준모랑 광호가 한다는 얘기 듣고 망설임 없이 선택하기도 했죠. 또 고은성이 광호 더블로 온다고 해서 궁금하기도 했고요. 무엇보다 캐스팅이 좋았고 만족스러웠어요. 광호랑 준모는 원체 제가 아끼고 좋아하면서도 존경하는 후배들이라 함께 작업하는 게 마냥 기대됐죠."
오랜 기간 무대에 서면서, 여러 차례 호흡을 맞춰온 양준모와 홍광호. 아무래도 애정이 남다를 수밖에 없었다. 다만 '햄릿'에서는 확연히 달라진 점들은 있었다. 홍광호와 모자관계가 돼 버린 게 그랬다. 양준모 역시 많은 작품을 함께 하지는 않았어도 마음이 통하는 누나 동생 사이다.
뮤지컬 배우 김선영이 22일 오후 서울 양천구 인근의 카페에서 진행한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형석 기자 leehs@ |
"이전과 확연히 다른 것은 홍광호씨랑은 연인으로만 하다가 아들과 엄마의 비운의 관계가 된 거죠.(웃음) 준모씨는 작품을 같이 많이 안했는데도 워낙 아끼고 애정하는 동생이에요. 저를 누나로서도 따뜻하게 대해주고 존중해주고 뭔가 얘기도 잘 통해요. 든든하고 귀엽죠. 귀엽다고 하면 사람들이 웃겠지만 의지가 되는 동생이에요. 오랜만에 부부로 연기를 다시 하게 됐죠."
원작 '햄릿' 속 거트루드는 자신의 안위만을 고려하는 다소 이기적인 캐릭터로 해석되기 쉽다. 남편이 죽자마자, 차기 왕좌에 오를 동생과 결혼을 하고 아들 햄릿을 절망하게 한다. 권력을 놓치고 싶어하지 않는 행동은 뚜렷이 보이지만 그의 감정 상태나, 어떤 선택을 하게 된 이유는 분명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공연에서도 거트루드의 속의 마음과 생각을 드러내는 대사가 많이 없어요. 상황 전개와 리액션 같은 대사만 짤막짤막하게 나오죠. 이 여자의 감정을 어떻게 전달할지 고민이 컸어요. 햄릿의 거트루드에 관해서도 사실 얘기가 분분하죠. 다른 건 다 벗어나서 대본만 보고 어떻게 아들과 관계를 설명할지, 상황 속 선택을 납득하게 할지 생각했어요. 비난을 받거나 연민을 살 지언정 어쨌든 제 얘기를 정확히 갖고 가고 싶었죠. 거트루드가 비정한 엄마로 비치든, 아니든 남은 해석은 관객의 몫이에요. 저는 햄릿과 관계에 많이 집중을 했죠."
뮤지컬 배우 김선영이 22일 오후 서울 양천구 인근의 카페에서 진행한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형석 기자 leehs@ |
비정한 어머니였다고 손가락질 당한다 해도, 햄릿을 가장 위한 인물 역시 거트루드였음을 부정할 수 없다. 거트루드는 햄릿을 걱정해 오필리어를 움직이고, 햄릿을 위해 극단 배우들을 보낸다. 햄릿이 클로디어스 앞에서 그가 선왕을 독살했다는 내용의 연극을 선보일 수 있었던 건 결국 거트루드 덕이었다. 그리고 햄릿이 마시려던 술잔이 독배임을 직감하고, 본인이 그대로 마셔 버린다.
"사실 남편이 죽고 그 동생이랑 바로 결혼한다는 건 좀 비정상적이죠. 물론 그런 여자도 세상에 있긴 있을 거예요. 그치만 어떤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다고 봤죠. 왕좌는 비어있고, 거트루드는 선왕을 클로디어스가 독살했다는 사실을 모르니까 햄릿이 걱정됐겠죠. 클로디어스가 왕이 되려할 때, 거트루드는 나와 햄릿의 인생을 결정할 계산을 할 수밖에 없었던 거예요. 마지막에 독약을 마실 때도, 원작에선 거트루드가 모르고 마시지만 여기선 약간 달라요. 아들을 위한 엄마의 선택이죠. 그리고 모든 일을 벌인 주체로서 다 책임지고 가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오랜 시간 뮤지컬 배우로 살아오면서, 김선영에게 전환점을 가져다 준 작품이 었었을까. 김선영은 뮤지컬 '마리아 마리아'와 '잃어버린 얼굴 1895'를 언급했지만 그 이유는 작품의 무게나 의미에 있지 않았다. 배우로서보다 인간 김선영이 겪어댔던 그 때의 사건들이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고백했다.
"99년도 데뷔하고 4-5년차 될 때 나한테 맞는 일인가 처음 고민했어요. 배우가 나에게 어울리나? 그만둘까 생각했지만, '마리아 마리아'를 만나 타이틀롤을 연기하면서 자신감을 얻었죠. 데뷔하자마자 상을 받고, 갖고 있는 재능만 갖고 야생마 날뛰듯이 했다가 무대를 조금 아는가 싶을 때 돌아보면 빈 듯한 느낌이 들어요. 10년차 지나고선 과연 즐길 수 있는 천직일까 고민했죠. 아이 갖고 출산하고 2년 정도 쉰 후엔 생각이 많이 달라졌어요. 순간 순간 감사하면서 내가 충만해지는 기분으로, 즐기면서 하고 싶어졌죠. 무대에 있는 것이 썩 잘 어울리는구나 느꼈고요. 그 시점을 겪는 저의 개인적인 감정이 그랬어요. 그 타이밍에 딱 그 작품들을 만난 거죠."
뮤지컬 배우 김선영이 22일 오후 서울 양천구 인근의 카페에서 진행한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형석 기자 leehs@ |
얼마 전 결혼과 출산을 겪으며 2년의 공백기를 갖고, 지난해 복귀한 김선영. 자연히 무대 위를 떠나 무뎌졌을까 하는 걱정이 들게 마련이다. 실제로 무대로 돌아와 느낀 감상이 궁금했다. 그는 더 어려워진 점도, 오히려 더 좋아진 점도 있다고 말했다.
"어떻게든 감을 빨리 찾아야겠다, 감이 안돌아오면 어떡하지? 걱정이나 두려움이 있었죠. 다행히 무대에 딱 올라서 연기하고 노래하면서 다시 제 안에 뭔가 돌아오고 채워지는 느낌을 받았어요. 관객들이 잘 왔다 반겨주시는 걸 느꼈을 때 이제 다시 시작이다 싶었고요. 세월은 흐르고 아이도 낳았으니 에너지나 노래나 이런 부분이 힘겹지 않을까 걱정했어요. 어릴 때만 보여줄 수 있는 기량과 달라지기는 했겠죠. 그치만 에너지와 스태미너가 오히려 더 생긴 것 같아요. 신기하게 극한 상황을 겪어봐서 그런지. 예전보다 힘들지 않은 느낌이죠. 지치는 게 덜한 것 같고 아이러니하고 재밌고, 감사해요."
뮤지컬 업계의 명성에 비해, 김선영은 TV나 대중매체에서는 익숙지 않은 배우다. 이름이나 얼굴이 알려지는 것과 별개로, 김선영은 조금 더 다양한 스펙트럼의 연기 자체에 욕심을 냈다. 뮤지컬을 하면서 '퀸'이라 불렸지만 이제는 친근한 누나, 옆집 아줌마, 수다쟁이 같은 일상적인 역할로 대중과 만나고 싶다는 소박한 바람을 얘기하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연기를 재밌게 할 수 있다면 어떤 장르든 도전하고 싶어요. 뮤지컬 안에서는 역할이 거의 이분법적 캐릭터에 국한되죠. 이야기가 있는 캐릭터를 만나고 싶어요. 누군가의 얘기를 끊임없이 들어주는 누나, 수다스러운 아줌마, 사랑스럽게 미치는 역할도 좋아요. 연기에 대한 갈증을 풀고 다양한 캐릭터를 만날 수 있다면 연극이든 영화든 안 가려요. 여왕이란 수식어는 언젠가 없어지겠죠. 좋은 기운과 자신감을 주는 감사한 말이었어요. 저로 인해 장면과 작품이 풍부해지고 멋있어지는, 거기에 일조하는 배우, 작품을 살리는 배우가 되고 싶어요. 조금 빈 부분을 채우고, 원동력을 줄 수 있길 바라지만 이것도 욕심은 욕심이에요.(웃음) 상대방이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는 배우가 된다면 참 좋겠죠."
[뉴스핌 Newspim] 양진영 기자 (jyyang@newspim.com)·이형석 기자(leeh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