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아모잘탄 10위…전년보다 순위 하락
10~20위엔 삼진제약대웅바이오 복제약 2종
[뉴스핌=박미리 기자] 한미약품의 고혈압 개량신약 아모잘탄이 올해도 국산약 중 유일하게 원외처방액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다만 처방액이 다소 줄면서 순위는 떨어졌다.
원외처방은 병원 처방 후 약국에서 약을 조제받는 것으로, 제약사의 전문의약품 실적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 쓰이고 있다. 흔희 제약사 전문의약품 매출은 원내처방과 원외처방 비율이 2대8로 알려졌다.
23일 의약품시장 조사업체 유비스트에 따르면 한미약품이 2009년 출시한 국내 첫 개량신약 아모잘탄의 올 1~3분기 원외처방액은 489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6% 감소했다. 이로 인해 원외처방약 시장에서 순위는 7위에서 10위로 3계단 하락했다.
다만 한미약품은 올해 9~10월 아모잘탄플러스(아모잘탄+이뇨제 성분 클로르탈리돈), 아모잘탄큐(아모잘탄+고지혈증 치료제 로수바스타틴)을 출시해 '아모잘탄 패밀리'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내년 매출 1000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다국적 제약사가 개발한 의약품이었다. 1위는 길리어드의 B형간염 치료제 '비리어드(원외처방액 1254억원)'였다. 비리어드는 화이자의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토'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이어 올 1~3분기 2위는 화이자 '리피토(1185억원)', 베링거인겔하임의 고혈압 복합제 '트윈스타(623억원)', BMS의 B형간염 치료제 '바라크루드(564억원)', 아스트라제네카의 고지혈증 치료제 '크레스토(539억원)' 순이었다.
6위는 사노피의 항혈전제 '플라빅스(523억원)'였고, MSD의 당뇨병 복합제 '자누메트(516억원)', 아스텔라스의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하루날(500억원)', 길리어드의 C형간염 치료제 '소발디(497억원)' 등이 그 뒤를 따랐다.
특히 길리어드의 소발디는 지난해 1~3분기 원외처방액 257억원으로 32위에 그쳤지만, 1년만에 9위로 올라섰다. 자리를 내준 의약품은 원외처방액이 전년 동기보다 3.7% 줄어든 노바티스의 고혈압 복합제 '엑스포지(477억원)'다.
소발디는 2015년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은 뒤 지난해 5월1일부터 건강보험급여 적용을 받았다. 독점 판매권도 올해 7월 국내에서 탄탄한 영업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 유한양행에게로 넘어가면서 매출 증대에 일조했다.
10~20위로 범위를 넓혀도 국내기업이 제조한 의약품은 2개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복제약이다. 삼진제약의 항혈전제 '플래리스', 대웅바이오의 뇌기능 개선제 '글리아타민'으로, 순위는 플래리스 13위(472억원), 글리아타민 14위(462억원)다.
종근당의 고지혈증 치료제 '리피로우'는 올 1~3분기 원외처방액이 353억원으로 3% 늘었으나, 올해는 20위권에서 밀려났다. 21위로 전년 동기보다 3계단 하락했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제약산업이 100년 됐음에도 상위권에 국내 제약사 제품이 많이 들어가지 못한 것은 부끄럽지만, 어느 때보다 신약 개발에 대한 제약사들의 노력이 열정적"이라며 "국산 신약이 상위권에 대거 오르는 날이 머지않아 오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박미리 기자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