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관 의원 "국내시장 안주해서 게임업계 침체빠졌다"
강신철 게임산업협회장 "소통 미흡 인정...산업으로서 역할할 것"
[뉴스핌=성상우 기자] "게임업계는 이제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일 게임산업 재도약을 위해 게임업계가 하나의 산업군으로서 일치된 목소리를 내야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동안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게임 산업이 규제 산업으로 고착화되는 과정에서 게임업계의 조직적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이날 한국인터넷기업협회에서 주최한 '4차 굿인터넷클럽'에 참석, "게임업계가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부정적 인식과 규제 고착화를 방치한 측면이 있다"며 "문제가 발생하거나 규제가 신설될때 업체별 이해득실을 계산하고 누구의 문제인지 구분하기 보단 산업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공동의 목소리를 내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게임 산업 내 '리더십 부재' 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게임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수동적이었고 유독 자기 목소리를 내는데 주저했다"며 "이제 이슈들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협회와 대형 게임사 등 이른바 산업의 '큰형님'들이 업계를 하나로 모으고 목소리를 내는데 앞장서야 한다"고 꼬집었다.
'제 4차 굿인터넷클럽'에 참석한 김병관 의원 <사진=인기협> |
셧다운제와 결제한도 규제에 대해서도 "현재 온라인게임에만 적용 중이지만 모바일게임에 대해서도 언제 신설될 지 모르는 '유예 상태의 규제'"라며 "온라인·모바일 구분짓지 말고 함께 대응해야 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새 정부의 정책 기조에 대해선 "게임산업에도 '비정상의 정상화'과정이 진행될 것"이라며 "게임 산업엔 논리가 아닌 감성을 바탕으로 생긴 비합리적 규제들이 있다. 이들에 대한 정상화 과정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게임업계의 지속 성장을 담보하려면 중소형 게임사들도 적극 해외로 진출해야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침체된 게임산업을 일으키려면 '규제 완화' 등 산업 외부적 요인뿐만 아니라 개별 컨텐츠 경쟁력 강화와 이를 통한 해외 진출 활성화 등 게임자들의 자체 노력도 중요하다는 의미다.
김 의원은 "과거 PC 온라인 게임 시절엔 한국게임이 아시아를 주도했다. 개발 단계에서부터 해외를 타겟으로 했고 해외 시장 흥행을 바탕으로 국내 게임 산업이 함께 성장했다"면서 "최근 국내 모바일게임들은 소수 게임사들을 제외하곤 철저히 내수 시장 타겟이다. 해외 시장 트렌드와 상관없이 국내 시장에 안주하려 한다. 이점이 최근 국내 게임산업의 한계이자 침체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게임산업이 살아나려면 모바일게임사들이 해외로 적극 나가야 한다. 해외 시장에서 성공한 모바일게임 사례들이 더 늘어나면 투자도 예전 수준으로 늘어나고 산업 전반에 활기가 돌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게임업계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다.
황성기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게임업계의 자율규제 강화 움직임에 대해 "정부 규제가 자율규제로 대체되면 권한과 책임이 동시에 커져야 한다. 단지 규제 회피적 측면이 아니라 '자발적 책임 강화'라는 인식도 정립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신철 게임산업협회 회장은 "게임업계가 개발과 서비스에만 집중하다보니 사회와의 소통이 미흡했던 점을 인정한다"며 "게임산업이 엄연한 하나의 산업 분야로 인정받은 지가 얼마 안됐다. 우리가 한 산업군으로서 제대로 역할하고 있다는 점을 사회에 더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성상우 기자 (swse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