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사회

속보

더보기

구글 CEO "모바일 가고 AI 시대 온다"

기사입력 : 2016년04월29일 09:25

최종수정 : 2016년04월29일 14:42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from mobile first to an AI first world"

[뉴스핌=이고은 기자] "지난 20년간 인터넷과 모바일의 확산을 통해 기술이 세상을 확 바꾼 것처럼 보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사진=블룸버그>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28일(현지시간) 창업자 연례 서신(annual founder's letter)에서 한 말이다. 피차이는 래리 페이지에 이어 구글 2인자다.

연례 서신에서 피차이 CEO는 구글의 업적을 나열한 후 "이제 인공지능(AI)의 잠재성을 향해 곧장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구글의 인공지능 시스템인 알파고는 지난 3월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서 승리를 거두며 세계적 관심을 받은 바 있다. 피차이는 이를 두고 "이번 승리는 판도가 바뀌었다(game changing)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궁극적으로는 인류의 승리"라고 말했다.

이어 "AI는 업무나 여행 같은 일상적인 과제는 물론 기후변화나 암 정복 같은 더 큰 과제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피차이의 이 같은 발언은 AI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나왔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와 엘런 머스크 테슬라 CEO, 스티븐 호킹 교수 등 유명인사들이 모두 AI 기술을 지지하는 것을 주저하거나 혹은 그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CEO만이 "우리는 AI를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지지의사를 표했다.

피차이 CEO는 "미래에는 디바이스(기기)라는 개념이 사라지는 단계가 올 것"이라면서 "대신 AI가 하루 종일 사람들을 도울 것이다. 모바일 퍼스트 시대에서 AI퍼스트 시대로 이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글 로고

다음은 피차이 CEO의 서신 원문이다.

This year’s Founders' Letter

April 28, 2016 
Every year, Larry and Sergey write a Founders' Letter to our stockholders updating them with some of our recent highlights and sharing our vision for the future. This year, they decided to try something new. - Ed. 
In August, I announced Alphabet and our new structure and shared my thoughts on how we were thinking about the future of our business. (It is reprinted here in case you missed it, as it seems to apply just as much today.) I’m really pleased with how Alphabet is going. I am also very pleased with Sundar’s performance as our new Google CEO. Since the majority of our big bets are in Google, I wanted to give him most of the bully-pulpit here to reflect on Google’s accomplishments and share his vision. In the future, you should expect that Sundar, Sergey and I will use this space to give you a good personal overview of where we are and where we are going.
- Larry Page, CEO, Alphabet
----------------------------------------------------

When Larry and Sergey founded Google in 1998, there were about 300 million people online. By and large, they were sitting in a chair, logging on to a desktop machine, typing searches on a big keyboard connected to a big, bulky monitor. Today, that number is around 3 billion people, many of them searching for information on tiny devices they carry with them wherever they go.
In many ways, the founding mission of Google back in ’98—“to organize the world’s information and make it universally accessible and useful”—is even truer and more important to tackle today, in a world where people look to their devices to help organize their day, get them from one place to another, and keep in touch. The mobile phone really has become the remote control for our daily lives, and we’re communicating, consuming, educating, and entertaining ourselves, on our phones, in ways unimaginable just a few years ago.

Knowledge for everyone: search and assistance

As we said when we announced Alphabet, “the new structure will allow us to keep tremendous focus on the extraordinary opportunities we have inside of Google.” Those opportunities live within our mission, and today we are about one thing above all else: mak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available for everyone.

This of course brings us to Search—the very core of this company. It’s easy to take Search for granted after so many years, but it’s amazing to think just how far it has come and still has to go. I still remember the days when 10 bare blue links on a desktop page helped you navigate to different parts of the Internet. Contrast that to today, where the majority of our searches come from mobile, and an increasing number of them via voice. These queries get harder and harder with each passing year—people want more local, more context-specific information, and they want it at their fingertips. So we’ve made it possible for you to search for [Oscar winner Leonardo DiCaprio movies] or [Zika virus] and get a rich panel of facts and visuals. You can also get answers via Google Now—like the weather in your upcoming vacation spot, or when you should leave for the airport—without you even needing to ask the question.

Helping you find information that gets you through your day extends well beyond the classic search query. Think, for example, of the number of photos you and your family have taken throughout your life, all of your memories. Collectively, people will take 1 trillion photos this year with their devices. So we launched Google Photos to make it easier for people to organize their photos and videos, keep them safe, and be able to find them when they want to, on whatever device they are using. Photos launched less than a year ago and already has more than 100 million monthly active users. Or take Google Maps. When you ask us about a location, you don’t just want to know how to get from point A to point B. Depending on the context, you may want to know what time is best to avoid the crowds, whether the store you’re looking for is open right now, or what the best things to do are in a destination you’re visiting for the first time.

But all of this is just a start. There is still much work to be done to make Search and our Google services more helpful to you throughout your day. You should be able to move seamlessly across Google services in a natural way, and get assistance that understands your context, situation, and needs—all while respecting your privacy and protecting your data. The average parent has different needs than the average college student. Similarly, a user wants different help when in the car versus the living room. Smart assistance should understand all of these things and be helpful at the right time, in the right way.

The power of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 key driver behind all of this work has been our long-term investment in machine learning and AI. It’s what allows you to use your voice to search for information, to translate the web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to filter the spam from your inbox, to search for “hugs” in your photos and actually pull up pictures of people hugging … to solve many of the problems we encounter in daily life. It’s what has allowed us to build products that get better over time, making them increasingly useful and helpful.

We’ve been building the best AI team and tools for years, and recent breakthroughs will allow us to do even more. This past March, DeepMind’s AlphaGo took on Lee Sedol, a legendary Go master, becoming the first program to beat a professional at the most complex game mankind ever devised. The implications for this victory are, literally, game changing—and the ultimate winner is humanity. This is another important step toward cre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an help us in everything from accomplishing our daily tasks and travels, to eventually tackling even bigger challenges like climate change and cancer diagnosis.

More great content, in more places

In the early days of the Internet, people thought of information primarily in terms of web pages. Our focus on our core mission has led us to many efforts over the years to improve discovery, creation, and monetization of content—from indexing images, video, and the news, to building platforms like Google Play and YouTube. And with the migration to mobile, people are watching more videos, playing more games, listening to more music, reading more books, and using more apps than ever before.

That’s why we have worked hard to make YouTube and Google Play useful platforms for discovering and delivering great content from creators and developers to our users, when they want it, on whatever screen is in front of them. Google Play reaches more than 1 billion Android users. And YouTube is the number-one destination for video—over 1 billion users per month visit the site—and ranks among the year’s most downloaded mobile apps. In fact, the amount of time people spend watching videos on YouTube continues to grow rapidly—and more than half of this watchtime now happens on mobile. As we look to the future, we aim to provide more choice to YouTube fans—more ways for them to engage with creators and each other, and more ways for them to get great content. We’ve started down this journey with specialized apps like YouTube Kids, as well as through our YouTube Red subscription service, which allows fans to get all of YouTube without ads, a premium YouTube Music experience and exclusive access to new original series and movies from top YouTube creators like PewDiePie and Lilly Singh.

We also continue to invest in the mobile web—which is a vital source of traffic for the vast majority of websites. Over this past year, Google has worked closely with publishers, developers, and others in the ecosystem to help make the mobile web a smoother, faster experience for users. A good example is the Accelerated Mobile Pages (AMP) project, which we launched as an open-source initiative in partnership with news publishers, to help them create mobile-optimized content that loads instantly everywhere. The other example is Progressive Web Apps (PWA), which combine the best of the web and the best of apps—allowing companies to build mobile sites that load quickly, send push notifications, have home screen icons, and much more. And finally, we continue to invest in improving Chrome on mobile—in the four short years since launch, it has just passed 1 billion monthly active users on mobile.

Of course, great content requires investment. Whether you’re talking about Google’s web search, or a compelling news article you read in The New York Times or The Guardian, or watching a video on YouTube, advertising helps fund content for millions and millions of people. So we work hard to build great ad products that people find useful—and that give revenue back to creators and publishers.

Powerful computing platforms

Just a decade ago, computing was still synonymous with big computers that sat on our desks. Then, over just a few years, the keys to powerful computing—processors and sensors—became so small and cheap that they allowed for the proliferation of supercomputers that fit into our pockets: mobile phones. Android has helped drive this scale: it has more than 1.4 billion 30-day-active devices—and growing.

Today’s proliferation of “screens” goes well beyond phones, desktops, and tablets. Already, there are exciting developments as screens extend to your car, like Android Auto, or your wrist, like Android Wear. Virtual reality is also showing incredible promise—Google Cardboard has introduced more than 5 million people to the incredible, immersive and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VR.

Looking to the future, the next big step will be for the very concept of the “device” to fade away. Over time, the computer itself—whatever its form factor—will be an intelligent assistant helping you through your day. We will move from mobile first to an AI first world.

Enterprise

Most of these computing experiences are very likely to be built in the cloud. The cloud is more secure, more cost effective, and it provides the ability to easily take advantage of the latest technology advances, be it more automated operations, machine learning, or more intelligent office productivity tools.

Google started in the cloud and has been investing in infrastructure, data management, analytics, and AI from the very beginning. We now have a broad and growing set of enterprise offerings: Google Cloud Platform (GCP), Google Apps, Chromebooks, Android, image recognition, speech translation, maps, machine learning for customers’ proprietary data sets, and more. Our customers like Whirlpool, Land O’Lakes and Spotify are transforming their businesses by using our enterprise productivity suite of Google Apps and Google Cloud Platform services.

As we look to our long-term investments in our productivity tools supported by our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fforts, we see huge opportunities to dramatically improve how people work. Your phone should proactively bring up the right documents, schedule and map your meetings, let people know if you are late, suggest responses to messages, handle your payments and expenses, etc.

Building for everyone

Whether it’s a developer using Google Cloud Platform to power their new application, or a creator finding new income and viewers via YouTube, we believe in leveling the playing field for everyone. The Internet is one of the world’s most powerful equalizers, and we see it as our job to make it available to as many people as possible.

This belief has been a core Google principle from the very start—remember that Google Search was in the hands of millions long before the idea for Google advertising was born. We work on advertising because it’s what allows us to make our services free; Google Search works the same for anyone with an Internet connection, whether it is in a modern high-rise or a rural schoolhouse.

Making this possible is a lot more complicated than simply translating a product or launching a local country domain. Poor infrastructure keeps billions of people around the world locked out of all of the possibilities the web may offer them. That’s why we make it possible for there to be a $50 Android phone, or a $100 Chromebook. It’s why this year we launched Maps with turn-by-turn navigation that works even without an Internet connection, and made it possible for people to get faster-loading, streamlined Google Search if they are on a slower network. We want to make sure that no matter who you are or where you are or how advanced the device you are using … Google works for you.

In all we do, Google will continue to strive to make sure that remains true—to build technology for everyone. Farmers in Kenya use Google Search to keep up with crop prices and make sure they can make a good living. A classroom in Wisconsin can take a field trip to the Sistine Chapel … just by holding a pair of Cardboard goggles. People everywhere can use their voices to share new perspectives, and connect with others, by creating and watching videos on YouTube. Information can be shared—knowledge can flow—from anyone, to anywhere. In 17 years, it’s remarkable to me the degree to which the company has stayed true to our original vision for what Google should do, and what we should become.

For us, technology is not about the devices or the products we build. Those aren’t the end-goals. Technology is a democratizing force, empowering people through information. Google is an information company. It was when it was founded, and it is today. And it’s what people do with that information that amazes and inspires me every day.

Sundar Pichai, CEO, Google

<자료: 구글 공식 블로그>

 

[뉴스핌 Newspim] 이고은 기자 (goe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與, '대법관 14명→26명 증원'...재판소원도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20일 대법관 수를 현행 14명에서 26명으로 늘리는 사법개혁안을 발표했다. 이른바 '4심제' 논란이 있던 재판소원 제도는 당 지도부가 입법 발의해 공론화를 시작, 당론으로까지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재판소원제는 헌법재판소가 대법원의 확정 판결에 대해 위헌 여부를 심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이다. 현재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은 "법원의 재판"을 헌법소원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민주당 사법개혁특별위원회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대 과제를 발표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사법개혁안을 발표하고 있다. 2025.10.20 choipix16@newspim.com 정청래 당대표는 "사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땅에 떨어진 것은 전적으로 사법부 책임"이라며 "사법부가 바로 서야 삼권분립이 바로서고 다시금 정치적 중립을 천금같이 여기는 사법부로 거듭나야 한다"고 밝혔다. 우선 대법관 수를 현행 14명에서 26명으로 증원한다. 다만 법안 공포 후 1년이 지난 시점부터 시행되도록하며, 매년 4명씩 3년에 걸쳐 총 12명을 증원하는 방식이다. 대법원은 3년 후에 26명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사법개혁 특위 위원장인 백혜련 의원은 "이를 통해 대법원은 6개의 소부와 2개의 연합부, 실질적으로 전원합의체 2개 구조로 재편된다"며 "이는 법원의 사건 전문성과 다양성을 높이고 심리의 충실도를 높여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를 두텁게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백 의원은 "특히 중요하거나 사회적으로 파급력이 큰 사건은 연합부 대법관의 과반 동의로 대법관 전원의 2/3 이상이 참여하는 합의체를 구성해 심판할 수 있도록 했다"고 부연했다. 이어 "일부에선 대법관 증원이 특정 정권의 사법부 장악을 위한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하지만 이재명 대통령 임기 중 임명되는 대법관은 총 22명이고 다음 대통령도 똑같이 22명을 임명하게 된다"면서 "현 정권과 차기 정권이 대법관을 균등하게 임명하는 구조로 설계돼 있다. 사법부를 회유하거나 사유화하거나 정치적으로 이용할 여지는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대법관 추천위원회 개선을 위해서는 법원행정처장을 추천위에서 제외한다. 대신 헌법재판소 사무처장을 위원으로 한다. 현재 10명인 추천위원을 12명으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한다. 현재 위원 중에 대법관이 아닌 법관 1명이 있는데, 이 내용을 전국법관대표회의에서 추천하는 2명으로 한다. 이 가운데 1명은 반드시 여성으로 한다는 계획이다. 추가로 지방변호사회 회장 과반수가 추천하는 변호사 1명을 포함시킨다. 아울러 대법관 구성 다양화를 위해 추천 기준을 신설했다. 현재는 대법원장이 대법관 후보자를 제청할 때마다 위원장 1명 포함 위원 10명으로 구성하는데, 여기에 성별·지역·경력 등이 다양한 후보를 추천해야 한다는 의무 조항을 넣었다. 또 위원 중에 학식과 덕망이 있고 각 전문분야에서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 된 기준을 "학식과 덕망이 있고 인권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분야에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 수정했다. 법관 평가제도 개선과 관련해선 법관 평가에 대한변호사협회의 법관평가를 반영하도록 했다. 자질평정 부분에 대한변협이 추천한 각 지방변호사회의 법관 평가를 포함하는 내용이다. 또 하급심인 1·2심 판결문 열람 복사를 전면 허용하도록 개편했다. 현재는 확정된 사건 판결문만 복사하도록 돼 있는데, 확정되지 않은 1·2심 판결문도 열람, 복사가 가능하도록 했다. 다만 대법원 의견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재판에 중대한 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제외하도록 했다. 판결문 확대 조치는 2000년 8월 1일부터 소급적용하도록 조치했다. 압수수색 사전심문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영장 발부 결정 과정에 사전대면심문 절차를 도입하도록 했다. 재판소원 제도 도입은 특위 위원인 김기표 의원이 대표 발의하고, 당 지도부도 발의에 참여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정 대표는 "재판소원제는 원래 사법개혁 특위에서 논의하려고 했는데 물리적 시간이 부족했다"면서 "재판소원은 헌법 이치와 국민의 헌법적 권리 보장, 국민의 피해 구제라는 측면에서 필요한 제도"라고 강조했다. 이어 "당 지도부가 입법발의 하는 만큼 당론 추진 절차를 밟아 본회의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재판소원제 도입과 관련해 "보다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공론화하기 위해 지도부 차원에서 발의하는 것"이라며 "국민과 전문가 의견을 충분히 들으면서도 사법개혁 공론화의 장을 넓히려는 것"이라고 했다. heyjin@newspim.com 2025-10-20 16:26
사진
[단독] 해군 2030~2040년 '건함계획' 발표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해군이 2030년대부터 2040년까지 한국형 이지스함(KDDX)을 3차까지 진행해 총 18척을 확보하고, 장보고IV 사업을 새로 시작하고, 해상초계기를 추가로 도입하기로 하는 등 새로운 '건함계획'과 '해상초계 전력 계획'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군의 이 같은 움직임은 북한이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서 각종 전술핵 탑재 무기와 신형 전략무기 체계를 대거 공개하며 대남 위협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는 데 따른 대응 차원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의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과 초음속 순항미사일 2종, 그리고 5000톤급 신형 구축함 최현함의 장거리 타격 능력 강화 정황이 확인되면서, 우리 군의 대응체계와 방어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한화오션이 서울ADEX에 선보인 한국형 이지스함(KDDX) 모형. [사진=디펜스타임스 제공] 2025.10.20 gomsi@newspim.com ◆한국형 차기 이지스 구축함(KDDX) 12척 추가 건조 = 해군은 최우선으로 만재배수량 8000톤급 한국형 차기 이지스 구축함(KDDX) 추가 전력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해군은 세종대왕급(세종대왕함, 율곡이이함, 서애류성룡함) 구축함, 정조대왕급(정조대왕함, 다산정약용함, 3번함 건조 중) 구축함 등 이지스 구축함 6척 확보와 함께 KDDX를 최대 18척까지 보유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KDDX 사업은 배 선체부터 전투 체계, 레이더 등 무장을 국내 기술로 만드는 국산 구축함 사업이다. 미니 이지스함 6척을 건조한다. 신형 군함을 도입하는 7조8000억 원 규모의 KDDX 사업은 방위사업청이 우왕좌왕 하는 사이 진전되지 않고 있음에도, 해군이 KDDX Batch-Ⅱ, KDDXⅡ 사업을 만들어 국산 이지스함을 추가로 확보하려는 계획을 세운 것은 한미 간 '기술 이전 문제' 때문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이 19일 해군본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군은 지난해 6월 미 해군 측에 서한을 보내 "북한 위협 대응을 위해 정조대왕급 이지스함과 SM-3/6 함대공미사일 확보 등을 추진 중이지만, 이지스함 전투력을 크게 높이는 협동교전능력(CEC) 미탑재로 초수평선, 장거리 대공표적 대응 능력이 제한되고 있다"며 대한(對韓) 수출을 요청했다. CEC는 지구의 곡면 특성을 감안, 여러 함선과 항공기에서 레이더 등으로 추적·확보된 표적정보를 고용량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융합·분배해서 공통 표적을 산출, 원격교전을 치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다. 이에 대해 미 해군은 같은 해 8월 답신에서 "미 정부의 수출통제 및 기술이전 정책은 한국에 대한 CEC 수출을 지원하지 않는다"며 거부 의사를 밝혔다. 미 해군은 거부의 이유로 밝힌 '수출통제 및 기술이전 정책'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호주는 2018년 호바트(Hobart)급 방공구축함, 일본은 2020년 8번째 이지스함이자 아타고급의 개량형인 마야급 이지스함에 CEC를 탑재하도록 허용했지만, 한국에는 CEC를 판매할 의사가 없다는 뜻을 명백하게 밝힌 것이다. 호주·일본에는 CEC를 제공한 미국이 같은 동맹국인 한국에는 수출하지 않으려는 '이중적 태도'에 실망한 해군이 이지스함 기술 국산화를 표방하는 KDDX 추가 건조로 방향을 틀었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판매 거부에 따라 해군은 2030년대 중·후반까지 미국 CEC와 유사한 '한국형 해상통합방공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선회했다. 이를 위해 국방과학연구소(ADD) 주도로 관련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ADD가 개발하는 한국형 해상통합방공체계는 이지스 구축함, 해상초계기, 항공모함 등 해군 전력과의 연동, 그리고 장거리 미사일 요격체계(L-SAM) 등 첨단 무기체계에 적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미국산 전투체계를 쓰는 세종대왕급·정조대왕급 이지스함에선 한·미 간 체계 연동 및 통합 여부 등이 불확실해 원활한 운용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따라서 해군은 정조대왕급 이지스함 추가 건조보다는 KDDX 추가건조를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KDDX 사업은 총 개념설계→기본설계→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후속함 건조 순으로 이뤄진다. 개념설계는 2012년 당시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이 수주했고, 기본설계는 2020년 현대중공업(현 HD현대중공업)이 따냈다. 현재 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에 착수해야 하지만, 사업자 선정을 두고 양 업체 간 갈등이 심해지며 연기됐다. HD현대중공업은 기존 관례대로 기본설계를 주도한 업체가 수의계약을 맺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화오션은 HD현대중공업이 보안 벌점을 받은 점을 거론하며 '경쟁입찰'로 사업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와 현대가 서로 한 치의 양보 없이 다투고 있는지 그 이유를 알 것 같다"면서 "KDDX 사업에서 한화와 현대의 대결은 '6척 싸움'이 아니라 '18척 싸움'이기 때문에 한 치의 양보 없는 대결 양상으로 치닫는 것 같다"고 했다. 해군은 현재 추진 중인 KDDX 6척 건조 사업이 출발하고, 차기호위함(FFX) Batch-IV 사업이 끝나는 즉시 곧바로 개량형이라 할 수 있는 KDDX Batch-II 사업을 실행한다는 계획이다. 최종적으로 새로운 개념을 적용한 KDDX-II 사업을 2035년 이후에 도입하기로 했다.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해 지난해 말 해군에 인도한 차세대 호위함(울산급 Batch-Ⅲ) 선도함 '충남함' [사진=HD현대중공업] 2025.10.20 gomsi@newspim.com ◆차기호위함(FFX) 사업 종료 후 차기호위함(FFX)-II 사업 = 한편, 해군은 기존 차기호위함(FFX) Batch-I/II/III/IV 사업을 완료한 후, 차기호위함(FFX)-II를 계획하고 있다. 해군은 FFX-II 사업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이지만, 건조시기와 구체적 제원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고 있다. 현재 해군은 차기 호위함(FFX) 사업으로 총 26척의 호위함(FFG)을 전력화 한다. FFX Batch-I 사업으로 인천급 호위함 6척, FFX Batch-II 사업으로 대구급 호위함 8척을 건조했고, FFX Batch-III 사업으로 충남급 호위함 6척을 건조하고 있다. 해군은 현재 차기 호위함(FFX) Batch-IV 사업으로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약 3조2500억 원을 투입, 총 6척을 건조하는 'FFX Batch-IV'(울산급 Batch-IV) 사업을 진행 중이다. 2029~2030년경 6척의 함정 모두가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FFX 사업이 완료되면 광개토대왕급 구축함까지 모든 해역함대의 노후화된 중·대형 함정이 교체가 완료된다. ◆AI 기반의 연안초계함(OPV) 사업을 진행 = 또한 1000t급 연안초계함(OPV) 사업을 진행해, 미사일 고속함 PK-A/고속함 PK-B로 대표되는 고속함들을 보완할 계획이다. 연안초계함(OPV)은 인력 절감과 효율성을 위해 AI(인공지능) 기반의 자동화·무인화 기술이 적용된 미래형 함정이다. 1500~2200톤급으로, 기존 초계함보다 거주성 등이 향상시켜 연안 및 해상 경비, 해양 안전, 어업 지도, 해양 오염 감시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2020년 11월 10일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진수한 중형급 잠수함 2번함 '안무함(KSS-Ⅲ, 3000톤급)'. 안무함은 2018년 9월 진수한 도산안창호함에 이은 장보고-Ⅲ급 두 번째 잠수함이다. 해군이 건조하는 '장보고Ⅳ' 잠수함도 같은 체급의 형상이다. [사진=대우조선해양] 2025.10.20 gomsi@newspim.com ◆장보고IV 사업 추진에 이어 2040년경 원잠 추진 = 한편, 해군의 수중전력인 잠수함 전력증강 계획에 대해 살펴보자. 해군은 2035년 이후 현재 장보고III Batch-I/II/III를 끝내고, '장보고IV 사업'으로 넘어간다. 최종 결론이 나오기 전이지만, 해군이 밝힌 장보고IV 사업은 그동안 2000톤급 잠수함으로 알려졌으나, 해군이 이번에 밝힌 방향은 3000톤급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장보고IV 사업 이후인 2040년 무렵, 해군은 차세대 잠수함을 건조할 계획으로, 원자력 추진 기관을 탑재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P-8A 포세이돈 후속으로 한국형 해상초계기 개발 계획 = 해군은 현재 P-3C/CK와 15대와 P-8 포세이돈 6대 등 21대의 해상초계기를 보유, 휴전선 길이의 9.5배, 남한 넓이의 3.3배에 이르는 30만㎢의 작전해역에 대한 상시감시와 주요 해상교통로를 보호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해군항공사령부 전력은 현재 P-8A 포세이돈 6대를 주력으로 2030년대를 맞이한다. 하지만 해군은 이번에 기존 P-3C/CK 대체용으로 한국형 해상초계기 사업을 추진할 계획임을 분명히 했다. 지난 5월 29일 경북 포항기지에서 발생한 P-3CK 해상초계기 추락사고는 1968년산으로, 무려 57년을 운용한 노후 항공기의 위험성을 해군에 각인시켰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서울ADEX에서 선보인 한국형 해상초계기 모형. KAI는 2017년 스웨덴 사브가 제시한 '소드피시형'의 국내 개발 해상초계기를 제시하고 있다. [사진=디펜스타임스 제공] 2025.10.20 gomsi@newspim.com 해군 관계자는 "해군은 현재의 P-3CK 기종을 2030년까지 운용하고, 그 이후에 최신예 한국형 해상초계기를 도입을 개획하고 있다"면서 "사고가 난 초계기와 동형인 나머지 P-3CK 7대의 조종사 안전, 그리고 대잠전력의 공백을 막기 위해 한국형 해상초계기 도입사업을 앞당겨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다만 2025년 10월 기준, 해군은 해상초계기를 해외 직도입으로 할지, 국내개발로 할지, 획득방법을 결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1/4 분기에 획득방법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는 2017년 스웨덴 사브가 제시한 소드피시형의 국내 개발 해상초계기를 제시하고 있다"면서 "KAI가 기존의 에어버스 A320 여객기를 개조하는 개발 계획에서 한 발짝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향후 해상초계기 추가 소요는 운용인력을 감안해 11대로 알려졌다. gomsi@newspim.com 2025-10-20 11:12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