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부 이달말 협동조합정책관 신설, 인원도 늘려
[뉴스핌=곽도흔 기자] 인천에서는 통신소비자들이 협동조합을 만들어 이동통신서비스 공동구매를 추진한다.
전남에서는 다문화가족 공연봉사단체인 다문화공동체사업단이 협동조합을 통해 다문화 가족들의 경제적 자립을 모색한다.
서울시는 '협동조합도시 서울' 조성을 위한 활성화 계획을 마련한다.
지난 1일 5인 이상이 모이면 누구나 협동조합을 만들 수 있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뒤 전국적으로 협동조합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도 협동조합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하는 모습이다.
1일이 토요일이라 실질적으로 협동조합 신청이 시작된 지난 3일 전국에서 16개 조합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5인 이상이면 누구나 만들 수 있지만 정관을 만들고 총회를 여는 등 일정 절차를 거쳐 서류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조합 신청은 앞으로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된다.
협동조합에 대한 관심은 최근 방한한 찰스 굴드(Charles Gould) 국제협동조합연맹(ICA) 사무총장의 국내 일정을 보면 한눈에 확인이 된다.
찰스 사무총장은 지난달 29일 일본에서 열린 제10회 ICA 아시아태평양지역 총회 참석 후 국내 ICA 회원 기관과의 협력 관계 강화를 위해 방한했는데 박원순 서울시장 미팅, 농협과 수협 관계자 미팅, 농협대학교 강연 등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
찰스 사무총장은 지난해에도 '세계 수협의 날'을 맞아 방한했지만 당시에는 언론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국내 협동조합 붐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도 협동조합 활용에 적극 나섰다. 성남시는 공무원 1200명을 대상으로 협동조합 기본법 알기 교육을 진행했고 강운태 광주시장은 협동조합을 광주의 브랜드로 만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협동조합법 시행에 따라 관련 업무가 크게 늘 것으로 예상하고 기획재정부에 협동조합 전담조직인 협동조합정책관직을 신설키로 했다.
신설되는 협동조합정책관은 총 16명을 정원으로 하고 협동조합정책과, 협동조합운영과, 협동조합협력과로 운영한다.
정책과는 협동조합 실태조사와 관련 제도개선 업무를 맡고 운영과는 사회적협동조합 인가 업무와 협동조합시스템 구축을 협력과는 교육·홍보, 국제기구와의 협력사업, 협동조합간 네트워크 조성 등을 맡는다.
지난 4일 입법예고한 ‘직제 시행규칙’ 개정안은 이르면 이달 말 시행된다.
재정부 관계자는 "협동조합법준비기획단이 내년 3월 활동이 끝나는 한시 조직이기 때문에 협동조합을 계속 지원하기 위해 정규 직제로 바꾸기로 했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곽도흔 기자 (sogoo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