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노경은 기자] 22일 지식경제부가 내놓은 '정부의 운영체계(이하 OS) 개발 계획'에 대해 국내 소프트웨어 업계가 "환영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과거 정보통신부 시절 정부 주도하에 추진한 한국형 플랫폼 표준 규격 '위피'가 한차례 실패한 바 있지만 성공 여부를 떠나 시도 자체가 의미 있다는 입장이다.
안철수연구소 박근우 팀장은 23일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은 싹이 없다고 보는 게 맞다"며 "정부의 계획은 단기적 성공 여부를 떠나 소프트웨어 산업 성장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업계가 글로벌 하청업체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핵심 생태계를 구축해야 하고 이를 지탱할 근간이 필요한데 정부가 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이 미미했던 이스라엘· 아일랜드· 중국은 정부 주도하에 OS 개발 인력을 육성하고 발전시켜 현재 소프트웨어 강국으로 발전한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해외 사례를 보더라도 정부의 이번 시도는 장기적으로 가능성이 있고 업계에 단비같은 존재가 될 것이라는 말이다.
박 팀장은 안철수 서울대 융합기술대학원장의 입장도 같을 것이라며 일화를 소개했다. 그는 "2003년에 중국 정부의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 활성화 발표를 위한 컨퍼런스 자리에서 안철수 박사가 중국 정부의 초청을 받고 멘트를 하러 중국에 간 적이 있다"며 "당시 안 박사는 중국의 정책을 보니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이 더욱 위태롭게 느껴진다고 말했다"고 전한 것.
한글과컴퓨터 주경자 과장 역시 같은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글로벌 시장 대비 우리의 대응이 조금 늦은감이 있고, 프로젝트성으로 지원되는 정책 보조금 지급 전담부처도 모호해졌다"고 아쉬움을 표현하며 "다만 해외 시장의 동향에 맞춰 우리 정부도 움직이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그는 이번 발표에 따라 양질의 일자리 창출도 가능할거라는 기대감도 내비쳤다. 업계가 활성화되면 자본력이 강화되고 이는 인적·기술적 확보를 위한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노경은 기자 (now21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