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양창균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전일(20일) 전체회의를 열고 MVNO(이동통신재판매) 사업 활성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MVNO의 사업적 기반이 구축돼 관련기업들의 정책적 수혜가 기대된다.
21일 통신업계와 주식시장에 따르면 방통위가 MVNO 가이드라인을 확정발표한 뒤 MVNO사업에 뛰어든 사업자들의 정책적 수혜와 함께 시장활성화가 전망된다. 이를 고려할 때 이달 시행에 들어간 아이즈비전을 비롯해 한국케이블텔레콤(KCT) 인스프리트 한국정보통신등이 수혜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번 방통위 전체회의를 통해 MVNO사업의 사업적 기반이 확실히 구축됐다"며 "이번에 구축된 MVNO사업적인 기준 골격을 통해 사업활성화와 더불어 고객편익도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전일 방통위는 전체회의를 통해 MVNO 사업활성화의 최대걸림돌인 다량구매할인율을 최종 확정했다. 다량구매할인율을 최대 6%수준으로 책정했다. 올해 새롭게 산정된 기준할인율(31~47%)을 고려하면 MVNO는 최대 53%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도매제공이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데이터 전용 도매대가인 경우는 기존 도매대가 대비 50%를 추가 할인키로 했다.
앞서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최근 중소통신업계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를 통해 중소통신사의 지원을 약속한 바 있다. 당시 최 위원장은 "중소통신사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고 사업자간 상생협력을 통해 정보통신기술(ICT) 생태계 전반이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간담회에는 김형진 세종텔레콤 회장을 비롯해 이통형 아이즈비전 회장 장윤식 한국케이블텔레콤(KCT) 사장등이 참석했다.
이에 따라 관련업계 역시 이번 방통위의 MVNO 가이드라인 제시로 정책적인 수혜를 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MVNO사업을 시작한 기업 고위관계자는 "이번 방통위의 MVNO가이드라인 확정으로 사업이 보다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아직은 초기단계인 MVNO시장을 고려할 때 이번 방통위의 정책으로 시장확대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를 감안할 때 관련주의 수혜도 점쳐지고 있다. MVNO사업에 뛰어든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세종텔레콤 아이즈비전 인스프리트 한국케이블텔레콤등이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양창균 기자 (yang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