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문화

속보

더보기

미슐랭 가이드 선정 베이징 최고의 레스토랑

기사입력 : 2019년11월29일 16:42

최종수정 : 2019년12월13일 13:23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타이저우 음식점 신룽지, 3 스타 레스토랑 등극
2 스타 레스토랑, 개성 내세운 레스토랑 포진

[서울=뉴스핌] 정산호 기자 = 베이징 하면 떠오르는 가장 유명한 요리는 베이징덕(카오야 烤鴨·구운 오리)이다. 대표적인 레스토랑으로는 취안쥐더(全聚德·전취덕)가 꼽힌다. 하지만 매번 이곳을 찾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에겐 새로운 '미(味)적 자극'이 필요하다.

최근 이러한 고민해결에 도움이 될 발표가 하나 있었다. 지난 28일 미슐랭(미쉐린)가이드는 처음으로 베이징 레스토랑의 순위를 담은 '미슐랭 가이드 베이징(北京)2020'을 발표했다. 미슐랭 가이드가 도시별로 발표하는 레스토랑 평가서(가이드)는 세계적인 지명도를 자랑한다. 앞선 11월 중순에는 '서울 편'이 발표된 바 있다. 

미슐랭 가이드 베이징(北京)2020 표지. [캡처=미슈랭 가이드 홈페이지]

가이드에는 총 100여 개의 베이징 소재 레스토랑이 소개됐다. 이 가운데 23곳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가치가 있는 레스토랑에 주어지는 '별'을 받았다. 등급은 가장 낮은 1 스타부터 최고 등급인 3 스타까지 3단계로 이뤄졌다.

이번 발표에서 1 스타~3 스타 레스토랑 수는 각각 20곳, 2곳, 1곳으로 집계됐다. 미슐랭 가이드 측은 '20곳이 넘는 레스토랑이 별을 받았다. 이는 첫 발표치고는 상당히 높은 수치다'라고 밝혔다.

또한 '베이징은 포용성이 높은 도시다. 이는 음식 문화에도 여실히 드러난다. 베이징에는 중국 각지의 음식재료를 활용한 멋진 레스토랑이 많다'고 평가했다.

신룽지의 대표 메뉴 중 하나인 사궈위터우(砂鍋魚頭) [사진=바이두]

신룽지(新榮記), 미슐랭 선정 최고의 베이징 레스토랑

이번 발표에서 최고등급(3 스타)을 받은 신룽지 레스토랑은 중국 동남부 저장(浙江) 성 타이저우(台州)음식 전문점이다. 레스토랑은 중국 주재 각국 대사관과 중심상업구역(CBD)이 자리 잡고 있는 베이징시 차오양(朝陽) 구에 있다.

타이저우는 동쪽으론 동중국해(東中國海)를, 서쪽으론 1000m급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 독특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해산물과 산채를 이용한 요리가 발전했다. 신룽지는 매일 새벽 3시에 항구로 들어오는 동중국해의 각종 해산물을 사용한다. 급속냉동과정을 거쳐 운반해 최고의 신선도를 자랑한다.

타이저우 요리의 맛을 지키기 위해 조리법도 철저히 연구했다. 타이저우 요리의 특징은 재료 본연의 맛을 중시하는데 이를 정확히 재현하기 위해 타이저우 농가와 어촌의 조리법을 그대로 따라 만든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자연산 연어 머리부위를 생강 등으로 간을 하고 냄비에서 쪄낸 사궈위터우(砂鍋魚頭), 조미료의 사용을 최소한도로 줄이고 생선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린 병어와 조기구이, 새끼 비둘기를 기름에 튀긴 추이피루거(脆皮乳鴿)등이 있다.

맛뿐만 아니라 매장 분위기도 훌륭하다. 미슐랭 가이드 측은 '레스토랑 직원의 서비스가 디테일 하나하나 모두 훌륭했다. 아주 즐거운 식사를 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채식 레스토랑 징자오인(京召尹). 엄선된 재료와 조리법을 따라 음식을 만든다 [사진=바이두]

개성으로 경쟁하는 2 스타 레스토랑

2 스타 레스토랑에는 채식 레스토랑인 징자오인(京召尹)과 중식 레스토랑 우리샹(屋裏廂)이 선정됐다.

징자오인은 중국 남부 윈난(雲南) 지역의 소식(素食· 채식 위주의 정갈한 음식) 요리를 전문으로 다루는 레스토랑이다. 손님에게 제공되는 음식과 주스에 들어가는 모든 채소는 유기농 농산물만을 사용한다. 레스토랑은 베이징 최대 티베트 불교 사원인 융허궁(雍和宮)근처에 있다.

징자오인은 재료를 엄선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러한 자신감은 메뉴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징자오인의 주문은 태블릿 PC를 보고 고를 수 있다. 메뉴별 사진과 함께 가열 음식인지 아닌지, 당도 및 열량, 역대 손님의 추천 지수 등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작됐다.

계절 맞춤 메뉴도 고를 수 있다. 기타 레스토랑과 다른 점은 계절의 기준이 동양의 24절기에 맞춰져 있는 점이다. 얼마 전 첫눈이 내린다는 소설(小雪)을 맞아 레스토랑에서는 맑은대쑥으로 만든 차와 호박의 일종인 둥과(冬瓜)와 무화과로 만든 조림 등을 내놓았다.

유명한 메뉴로는 진강사더우푸(金剛沙豆腐)가 있다. 버섯을 섞어 만든 일본식 두부에 참깨, 고춧가루, 견과류로 만든 고물을 묻혀 만든다. 고기와 비슷한 식감이 난다고 한다.

우리샹(屋裏廂)은 상하이(上海)출신 유명 요리사들이 의기투합해 만든 중식 레스토랑이다. 현대적인 감각으로 중국 전통요리를 재해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인들의 일상에 흔한 요리도 이들이 만들면 특별한 별미로 변한다고 한다. 미슐랭 가이드는 상하이 지방의 전통요리인 톈러우싸이러우(田螺塞肉)를 추천했다. 이 요리는 민물 우렁이를 황주와 간장 생강과 함께 냄비에 넣고 졸여 만든 음식이다. 매콤하고 짭짤한 맛이 난다.

미슐랭 가이드가 추천한 베이징덕 전문 레스토랑 징야탕(京雅堂). [사진=바이두]

베이징 전통요리점 다수 포진한 1 스타 레스토랑

1스타 레스토랑 중에는 4대째 궁중요리를 만들고 있는 리자차이(厲家菜)가 단연 돋보인다. 다양한 가격대의 코스요리가 제공되는 리자차이는 방문 전에 예약을 통해 메뉴를 먼저 정해야 한다. 재료를 손질하고 요리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베이징 전통요리 명가 스지우(拾久)도 이름을 올렸다. 부드럽고 육즙이 풍부한 카오위터우(燒魚頭, 생선 머리 고기)는 이 가게의 간판 요리다. 매일 100인 분만 한정 판매된다.

1스타 레스토랑에는 베이징 카오야 전문 레스토랑도 이름을 올렸다. 미슐랭 가이드는 성융싱(晟永興), 다둥(大董), 징야탕(京雅堂)을 추천했다. 징야탕은 맛과 함께 뛰어난 내부 인테리어로 호평을 받았다.

이외에도 가이드는 베이징에서 200 위안(3만원)대에 훌륭한 식사를 즐길 수 있는 15곳의 '빕 그루망(Bib Gourmand)'레스토랑과 62곳의 추천 할 만한 레스토랑 목록인 '더 플레이트'리스트도 함께 발표했다.

 

chu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10·15 부동산대책] "2금융권 모두 묶였다"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이번에 발표된 10. 15 부동산 대책으로 주택매입 자금 조달의 '마지막 통로'로 불리던 2금융권 대출길이 사실상 완전히 막혔다. 그동안 1금융권 대출 한도를 채운 뒤 저축은행이나 캐피털 등 2금융권으로 넘어가 추가 자금을 확보하던 관행이 이번 대책 이후에는 불가능해진다. 정부는 주택시장 안정을 목표로 수도권 및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주택 시가 기준 15억원 이하는 6억원, 15억~25억원 이하 4억원, 25억원 초과 2억원으로 일괄 제한했다. ◆ "2금융권 통한 추가 대출도 불가능"…한도·DSR·LTV 일괄 적용 이전까지는 은행권에서 한도를 채운 뒤 2금융권으로 넘어가 추가 대출을 받는 식의 '보충 레버리지'가 가능했지만 이번 대책으로 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카드사 등 전 금융권이 동일 기준을 적용받게 됐다. 또한 규제지역 신규 지정에 따라 해당 지역의 주담대 LTV(담보인정비율)는 70%에서 40%로 하향되며 전세대출·신용대출을 이용한 주택 구입도 금지된다. 이에 따라 2금융권을 통한 '추가 대출'이나 '신용대출 보완'도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이번 대책에서 1·2금융권 동일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LTV 기준을 적용하면서 '2금융권으로 가면 더 빌릴 수 있다'는 공식은 완전히 무너졌기 때문이다. 그동안은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은 은행보다 DSR 허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은행권이 40%이라면, 저축은행은 50~60%였다. 하지만 금리가 조금 더 높았다. 이런 가운데 1·2금융권 동일 DSR·LTV 기준을 적용하면서 2금융권으로 갈 유인이 없어졌다. 만약 2금융권의 금리가 8%이라면 실제 대출 한도는 오히려 줄어든다. 연소득 6000만원 기준으로 은행(금리 4%)에선 약 3억5000만원까지 가능하지만 저축은행(금리 8%)에서는 2억6000만원 수준에 그친다.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2025.10.15 hkj77@hanmail.net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조치로 1금융권이 막히면 2금융권으로 돌던 흐름까지 완전히 끊길 것"이라며 "대출 금리는 더 높은데 한도까지 줄어, 비은행권 대출의 매력은 사실상 사라졌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건전성 관리가 예민한 곳들은 지표 관리를 위해 더욱 보수적으로 대출을 실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 "사업자대출·우회대출 차단"…고소득자 레버리지 봉쇄 그동안 일부 고소득층은 사업자등록을 내고 2금융권 사업자대출을 이용해 주택을 매입하는 편법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정부는 이미 6·27 대책에서 신용대출 한도를 1억원으로 제한하고 사업자대출을 통한 주택자금 유용도 차단한 바 있다. 이에 더해 이번 대책에서 정부는 "주택구입 자금으로 유용되는 사업자대출은 동일한 심사 기준과 DSR 적용을 받는다"며 용도 외 사용 시 대출 회수 및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 금융권 다른 관계자는 "이전에는 2금융권 사업자대출로 10억원대까지 자금을 끌어오는 사례가 있었지만 이제는 용도검증 강화로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소득이 높아도 DSR 제한에 걸려 실수요 외 매입은 어렵다"고 말했다. yunyun@newspim.com 2025-10-15 10:49
사진
불안이 불지핀 랠리 금값 4200달러 돌파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지정학 불안과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계속되면서 금 가격이 15일(현지시간) 온스당 4,200달러도 뚫고 올랐다. 국제유가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 격화와 공급 과잉 전망 여파가 계속되며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1.2% 올라 4,213.60달러를 기록했다. 금 현물은 장중 한때 사상 최고치인 4,217.95달러까지 상승해 역대 최고가를 경신한 뒤 한국시간 기준 16일 오전 1시 33분 기준 1.3% 오른 온스당 4,196.76달러를 기록했다. 금괴. [사진=블룸버그통신] 주요 통화 바스켓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0.32% 하락해 금값 매력을 더했다. 전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미국 노동시장은 여전히 '낮은 고용·낮은 해고의 침체(doldrums)' 상태에 있다"고 말하며 완화적(비둘기파적) 톤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주식시장이 흔들려도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협상 입장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며 미중 갈등 지속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씨티인덱스와 포렉스닷컴의 시장 분석가 파와드 라자크자다는 "금은 지금 완전히 폭주하는 국면에 있으며,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며 "최근 며칠간 미·중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면서, 투자자들이 주식의 롱 포지션(상승 베팅)을 헤지하기 위해 금으로 분산투자를 할 이유가 더욱 늘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10월 금리 인하 0.25%포인트(25bp)를 단행할 확률을 98%, 12월 추가 인하는 100%로 완전히 반영한 상태다. 시장 참가자들은 또한 미국 정부 셧다운(일시적 행정 중단) 상황에도 주목하고 있다. 셧다운으로 인해 공식 경제 지표 발표가 중단되면서, 정책 결정자들의 경제 전망에도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유가는 무역 갈등보다 공급 과잉 가능성을 경계하며 하락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12월물은 배럴당 61.91달러로 마감하며 전일 대비 0.48달러(0.8%)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1월물은 0.43달러(0.7%) 내린 58.27달러로 마감했다. 두 벤치마크 모두 5월 7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이틀 연속 최저가를 갱신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회원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플러스(+) 산유국 연합이 예정보다 빠른 속도로 감산 중단분을 복구하기로 하면서 공급 과잉 우려가 확대돼 유가는 여전히 압박을 받고 있다. 앞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내년 기록적인 공급 과잉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으며, 일부 대형 원유 트레이딩 회사들은 "기대보다 빨리 공급 초과 현상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고 경고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미·중 무역 긴장이 심화되고 OPEC+ 산유국들의 생산이 확대될 경우, 브렌트유 가격이 배럴당 50달러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UBS의 애널리스트 지오반니 스타우노보는 "유가는 여전히 무역 긴장과 투자심리(리스크 선호)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주식시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어 일정 부분 제한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kwonjiun@newspim.com 2025-10-16 06:1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