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민영기업 살아야 중국 산다’ 左턴하던 '국진민퇴' 중국 우회전 깜빡이, 대출 감세 지원확대

기사입력 : 2018년11월26일 14:09

최종수정 : 2018년12월07일 16:37

GDP 60% 담당하는 민영기업에 ‘인공호흡’
민영기업 성장률 공무원 인사고과에도 반영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23일 오전 10시3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이미래 기자 = “민영기업은 우리 편(自己人)이다”

취임 이후 강도 높은 ‘친(親) 국유기업’ 정책을 펼쳐온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들어 이렇게 한마디 하고 나선 이후 중국에 ‘민영기업 살리기’ 열풍이 불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 및 개혁과 규제 강화의 부작용으로 전체 GDP의 60%를 담당하며 경제성장의 중심축인 민영기업들이 경영난(자금난)에 빠진데 따른 것이다. 중앙및 지방정부가 다양한 정책을 통해 민영기업 지원에 나섰고, 은행권도 여기에 적극 호응 자금 지원등의 다양한 우대책을 내놓고 있다. 

◆ 굴기(屈起)의 일등공신 한동안 ‘국진민퇴’로 찬밥

중국 국가통계국(國家統計局)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국내총생산(GDP)에서 민영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0%에 달했다. 또 전체 상장사 수의 61%를, 상장사 시총의 35%를 담당했다.

인민은행은 “민영기업이 없었으면 중국 경제의 안정적 발전도 없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 전문가도 “지금의 중국 경제를 이끄는 주축은 민영기업”이라며 “지금의 기술 반도체 ‘굴기’를 실현한 주인공”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세계 시장을 잠식하며 고속 성장세를 보이던 중국 민영기업의 최근 상황이 녹록지 않다.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겪게 된 것이다. 주요 요인은 당국 규제(대내) 및 미중 무역전쟁(대외)으로 정리된다.

시 주석은 집권 내내 ‘친 국유기업’ 정책을 펼쳐왔다. 이것의 일환으로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을 강조했고 금융기관은 민영기업 대출을 기피, 국유기업을 선호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정부가 최근 몇 년 동안 국유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민영기업을 ‘옥죄는’ 정책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게다가 지난 3월이후 미중 무역마찰이 격화되면서 민영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됐다. 2017년 기준 중국 전체 수출 중 민영 기업 및 국유기업의 비중은 각각 44.4% 10.2%다. 고관세 부과 등 미국의 압박이 국유기업보다는 민영기업에 집중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경기 위기’ 직격탄을 맞고 자금확보까지 실패한 민영기업의 자금난 현상은 곧 디폴트 위기로 이어졌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총 29개 민영기업이 회사채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냈다. 그 규모만 674억600만 위안(약 11조100억 원)에 달한다. 반면 같은 기간 회사채 발행량은 4029억 위안(약 65조8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2억 위안(약 9조9000억 원) 감소했다.

21스지징지바오다오(21世紀經濟報道)는 “중국 민영기업의 디폴트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달 말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상하이 및 성전 증시에 상장된 기업 중 최소 32개가 국유화됐다”고 보도했다. 32개 기업 중 6개는 중앙정부로, 나머지 26개는 지방정부로 넘어갔다.

일각에서는 “민영부문을 따돌리고 국유기업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당국의 고의적인 조치가 아니냐”는 논란이 일어났고 시장 우려는 증폭됐다. 자금이 탄탄한 국유기업을 중심으로 ‘공유제 경제’는 강화되고, 자금난에 시달리는 민영기업을 중심으로 ‘사영경제’는 쇠퇴한다는 뜻의 ‘국진민퇴(國進民退)’ 상태라는 주장이 나온 것이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자금난 및 국진민퇴에 대한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내놓은 특단의 대책이 바로 ‘민영기업 살리기’ 프로젝트다.

◆ GDP 60%, 고용 80% 책임지는 민영기업에 ‘인공호흡’

11월 1일 시진핑 주석은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人民大會堂)에서 열린 민영기업 좌담회에 참석, 무역전쟁으로 어려움을 겪는 민영기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시 주석이 내놓은 6가지 민영기업 육성 방안은 ▲세금 부담 경감 ▲융자난 해소 ▲공평한 경쟁 환경 조성 ▲정책 집행 방식 개선 ▲정부 당국과 경제계 간 소통 강화 ▲기업가 신체 안전 및 재산 보호 등이다.

11월 1일 시진핑 주석은 민영기업 좌담회에 참석, 무역전쟁으로 어려움을 겪는 민영기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신화사 뉴스핌]

이후 중앙∙지방정부 그리고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이하 은보감회) 증권감독관리위원회(이하 증감위) 등 기관이 앞다퉈 민영기업 지원책을 쏟아내고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것은 과학 혁신 기업 및 유니콘 기업을 위한 새로운 증권거래 시장인 커촹반(科創板, 과학혁신판) 개설이다.

11월 5일 오전 상하이(上海)에서 개막한 제1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에 참석한 시 주석은 “상하이 거래소에 신생 기술 기업을 위한 커촹반을 개설하고 주식발행 등록제를 시범적으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증감위는 “과학기술 강국 육성 전략의 일환으로 커촹반 개설 및 기업공개(IPO) 등록제 방안을 서둘러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커촹반은 과학 혁신 기업 및 유니콘 기업을 위한 새로운 증권거래 시장이다. 과학기술 민영기업의 상장 문턱을 낮춰 자금 조달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또 기존의 심사비준제가 등록제로 바뀌면 민영기업의 주식 상장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당시 주전신(朱振鑫) 루스(如是)금융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커촹반은 상장 문턱이 낮고 거래가 편리할 것”이라며 “창업판보다 더 많은 유니콘 기업을 끌어당기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9년 개설된 창업판(創業板, 차스닥)은 신규 상장사 90%가 민영기업으로 ‘중국판 나스닥’이라고 불린다.

커촹반(科創板, 과학혁신판)은 과학 혁신 기업 및 유니콘 기업을 위한 새로운 증권거래 시장이다 [사진=바이두]

시 주석의 ‘러브콜’은 은행을 통해 소득세 감면, 대출 확대 등의 모습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최근 은보감회는 민영기업 자금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형 은행은 신규기업 대출의 3분의 1을, 중소형 은행은 2분의 1을 민영기업에게 제공하라고 지시했다. 또 3년 이내 은행권 전체 신규대출에서 민영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중국 전체 은행권 대출에서 민영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4분의 1에 불과하다.

이러한 발표 이후 중국 4대 은행은 앞다퉈 협약서 및 기획안을 내놓았다.

시나(Sina, 新浪)에 따르면 최근 공상(工商)은행은 100여 개의 민영기업과 금융지원 관련 협약을 체결했다. 민영기업에 대한 신용대출 및 금융서비스를 확대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후 공상은행은 한달 사이에 민영기업의 자금 조달을 100억 위안(약 1조6500억 원)까지 확대했다. 그 중 신규대출이 42억 위안(약 6900억 원)을 차지했다.

이 밖에 중궈(中國)은행 눙예(農業)은행 젠서(建設)은행이 각각 20건 22건 26건의 민영기업 대출 관련 기획안을 발표했다.

디폴트 위기 해결을 위한 대출 금리 인하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11월 9일 리커창(李克強) 중국 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는 민영 중소기업에 대한 신규대출 금리를 낮추자는 의견도 제시됐다.

중국 매체 펑황왕(鳳凰網)은 “4분기 상업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금리를 올 1분기 대비 1%포인트 낮춰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고 밝혔다. 3분기 말 기준 중국 상업은행의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평균 6.23%다. 이는 1분기 대비 0.7%포인트 낮춘 수준으로 4분기에 0.3%포인트 더 낮춰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매체는 “심지어 중소기업 대출 업무를 은행원의 인사고과, 연봉 그리고 은행의 내부 심사 등과 연결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고 밝혔다. 민영기업 대금을 상환하지 않는 지방정부의 경우 중앙정부가 직접 나서 이들 국고자금을 털어서라도 청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민영경제 성장률을 인사고과에 반영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제시됐다.

쓰촨성 지방정부는 과학기술(IT) 기업의 소득세 세율을 15% 수준으로 낮춘다는 내용의 기획안을 발표했다 [사진=바이두]

중국 매체 메이징왕(每經網)에 따르면 최근 쓰촨(四川)성은 “지역 내 민영경제 성장률을 공무원 인사고과에 반영, 건강한 경제 발전을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쓰촨성 지방정부는 ▲과학기술(IT) 기업의 소득세 세율을 15% 수준으로 축소 ▲기술이전에 대한 소득세 감면 ▲연구개발(R&D) 비용을 더 많이 계산해 기업 소득세 줄이도록 체계조정 등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관련 정책이 잇따라 발표되자 시장 전문가는 “이러한 중국 당국의 ‘민영기업 살리기’ 조치가 그렇다 할 실효를 내지 못하면 오히려 장기 불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leemr@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 지지율 2.3%p↓, 38.1%…"與 총선참패 '용산 책임론' 영향"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하락해 30%대 후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8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5~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8.1%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59.3%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5%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1.2%포인트(p)다. 긍정평가는 지난 조사 대비 2.3%p 하락했고, 부정평가는 1.6%p 상승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36.0% '잘 못함' 61.0%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0.0% '잘 못함' 65.5%였다. 40대는 '잘함' 23.9% '잘 못함' 74.2%, 50대는 '잘함' 38.1% '잘 못함' 59.8%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51.6% '잘 못함' 45.9%였고, 70대 이상에서는 60대와 같이 '잘함'이 50.4%로 '잘 못함'(48.2%)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8.5%,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1.4% '잘 못함' 65.2%, 대전·충청·세종 '잘함' 32.7% '잘 못함' 63.4%, 부산·울산·경남 '잘함' 47.1% '잘 못함' 50.6%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8.5% '잘 못함' 38.0%, 전남·광주·전북 '잘함' 31.8% '잘 못함' 68.2%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7.1% '잘 못함' 60.5%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4.7% '잘 못함' 63.4%, 여성은 '잘함' 41.6% '잘 못함' 55.3%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하락 배경에 대해 "108석에 그친 국민의힘의 총선 참패가 '윤 대통령의 일방적·독선적인 국정 운영 스타일로 일관한 탓이 크다'라는 '용산 책임론'이 대두되며 지지율이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선거 결과에 대해 실망한 여론이 반영됐을 것"이라며 "최근 국무회의 발언 등을 국민들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도 아니고 경제 상황도 나아지고 있지 않아 추후 지지율은 더 낮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9%,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4-18 06:00
사진
이재명, 범진보 대권주자 적합도 '압도적 1위' 질주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22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을 이끈 이재명 대표가 범진보 진영 차기 대권주자 적합도에서 압도적 1위를 질주했다. 여의도에 입성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위, 김동연 경기지사가 3위, 김부겸 전 총리가 4위로 뒤를 이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5~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범진보 진영 인물 중 차기 대권주자로 누가 가장 적합한지 물어본 결과 이 대표 35.4%, 조 대표 9.1%, 김 지사 8.5%, 김 전 총리 6.5%로 나타났다. 뒤이어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8%,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1.6%로 집계됐다. 기타 인물은 16.7%, 적합 후보 없음 15.1%, 잘 모르겠음 5.2%였다. 이 대표는 전체 연령대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만 60대 이상에선 다소 차이가 좁혀졌다. 만18세~29세에서 이 대표 35.4%, 조 대표 12.1%, 김 지사 10.1%, 김 전 총리 5.8%였다. 30대에선 이 대표 38.7%, 김 지사 6.5%, 김 전 총리 6.2%, 조 대표 5%순이었다. 40대의 경우 이 대표 50.6%, 조 대표 12.6%, 김 지사 5.9%, 김 전 총리 5.1%로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50대에선 이 대표 41.1%, 조 대표 10.2%, 김 지사 8%, 김 전 총리 5.6%였다. 60대에선 이 대표 23.9%, 김 지사 10.4%, 조 대표 7.8%, 김 전 총리 6.4%순이었다. 70대 이상의 경우 이 대표 19.5%, 김 지사 10.8%, 김 전 총리 10.5%, 조 대표 6%로 나타났다. 이 대표는 전체 지역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수도권 및 호남에서 격차를 벌렸고 영남에선 차이가 다소 좁아졌다. 서울에서 이 대표 32.9%, 조 대표 9.2%, 김 지사 8.2%, 김 전 총리 4.4%였다. 경기·인천에선 이 대표 43.8%, 김 지사 9.9%, 조 대표 7%, 김 전 총리 4.8%순이었다. 광주·전남·전북의 경우 이 대표 42.9%, 조 대표 9.2%, 김 전 총리 11.5%, 김 지사 6.8%였다. 대구·경북에선 이 대표 21%, 김 전 총리 11.6%, 조 대표 10.3%, 김 지사 8.8%로 나타났다. 부산·울산·경남은 이 대표 27.1%, 조 대표 9.9%, 김 전 총리 7.2%, 김 지사 5.6%였다. 대전·충청·세종에선 이 대표 32.3%, 조 대표 13.5%, 김 지사 10.9%, 김 전 총리 4.4%였다. 강원·제주에선 이 대표 36.2%, 조 대표 8.4%, 김 지사 7.8%, 김 전 총리 7.3%로 집계됐다. 지지 정당별로 살펴보면 민주당 지지층에선 이 대표 74.6%, 조 대표 5.7%, 김 지사 4.5%, 김 전 총리 1.7%로 이 대표가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김 지사 12.4%, 김 전 총리 9.5%, 이 대표 8.5%, 조 대표 3.4% 순이었다.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경우 이 대표 45.9%, 조 대표 38.5%, 김 지사 4.7%, 김 전 총리 2.2%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 대표는 '과반 의석 달성'과 함께 원내 1당을 지키며 대권주자 위상이 더욱 강화했다"며 "조 대표는 비례대표 12석을 얻으며 단숨에 경쟁력 있는 차기 대선후보 반열에 올랐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별·연령대별·지역별 인구비례할당 후 무작위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자동응답조사(ARS)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3.9%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지역별 셀가중값을 부여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여론조사결과 등록현황을 참고하면 된다. hong90@newspim.com 2024-04-18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